'규제혁신'과 '노동시장 개혁' 필요…코로나19 회복까지 1~2년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올 하반기 효율성 확대에 절치부심하고 있다.

코로나19발 수익감소와 시장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경영 환경이 점점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태 회복에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와 21대 국회로 향하는 도움의 목소리는 점차 커지고 있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올해 우리 경제는 코로나19 영향으로 0%대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역성장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기업들의 경영 환경도 점차 악화하고 있다. 일부 조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체감 충격이 IMF 외환위기 보다 높다는 응답도 나오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구조조정 등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현대자동차 아산 공장 /사진=현대차

비상 경영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 기업들은 최근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리스크를 최소화 하자는 전략이다.

대기업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코로나19)상황이 다소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투자와 사업 확장은 상황을 더 지켜보면서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코로나19 리스크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하반기에는 유동성 확보 등 효율성 강화에 더 초점이 맞춰질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 경영 부담이 점차 확대되면서 재계에서는 정책 방향의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전문가들이 역시 정책 변화를 ‘포스트 코로나 전략’에 핵심 과제로 지목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최근 경제전문가 2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규제혁신’과 ‘노동시장 개혁’이 21대 국회의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특히 재계에서는 신산업 규제개혁으로 신성장의 디딤돌을 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코로나19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의 규제 장벽을 과감하게 제거하고, 신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동 구조의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경쟁력 있는 노동시장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제한 완화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개편 촉진 △최저임금제도 개편 △해고법제 경직성 완화 △기간제·파견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데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제전문가들과 기업들은 회복에 걸리는 기간을 1~2년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내년까지 코로나19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힘들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불확실성으로 많은 기업들이 당분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버틸 수 있는 시간도 한정돼 있다”며 “규제 개선과 정책의 변화를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