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대응, 일자리 창출 등은 개선과제 지목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우리 국민들은 한국전 발발 후 지난 70년간 대한민국의 가장 큰 업적으로 경제·산업·사회 분야에서 각각 IMF 극복과 삼성의 반도체 진출,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를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6․25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전쟁 70년,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 대국민 인식'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사옥 입구 /사진=미디어펜

또 이번 조사에서 우리 국민들은 한국이 선진국이라 느끼게 된 계기로 코로나19 K-방역을 1순위로 꼽았으며, 한국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 저출산․고령화 대응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전경련은 이번에 △한강의 기적을 일군 경제적 성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 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제고 등 경제·산업·사회 분야에 걸쳐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를 조사했다.

경제 부문에서는 1953년 1인당 국민소득 76달러인 세계 최빈국에서 2019년 국민소득 3만불 이상, GDP 규모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것과 관련해 국민들은 IMF 외환위기 극복(52.1%)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응답했다.

이어 88서울올림픽 개최(42.9%), 새마을운동(39.6%) 및 경제개발 5개년 계획(39.1%)을 꼽았다. 연령별로는 세대별 경험에 따른 순위차가 나타났다. 20대~50대는 IMF 극복을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응답한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민국 산업 발전과 관련해 국민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이슈로 삼성 반도체 진출(64.2%)을 꼽았다. 이어 포항제철 설립(35,9%), TV 세계시장 석권 등 디스플레이 강국(35.9%), 네이버․카카오 등 IT벤처 신화(33.9%)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20~30대에서는 삼성 반도체 진출에 이어 네이버․카카오 등 IT 벤처 신화, TV․디스플레이, 5G를 꼽은 반면, 60대는 삼성 반도체 진출에 이어 포항제철 설립, 현대중공업 조선소 설립 순으로 응답했다.

사회 부문에서 국민들은 국민건강보험(80.0%)을 가장 기억에 남는 이슈로 꼽았다. 이어, 초․중등 무상교육(40.3%), 금융실명제 실시(39.5%), 국민연금제도 도입(39.4%) 순으로 응답했다.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선택한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았으며, 특히 60대 이상은 93.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산업 부문과 달리 압도적으로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를 꼽은 것은 올해 초 예기치 못한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으로 질병과 의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 83.9%는 우리나라를 선진국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코로나19 K-방역(36.1%)이 그렇게 느끼게 된 가장 큰 계기였다고 응답했다. 이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인구 5000만을 의미하는 ‘3050 클럽국 진입’ (15.2%)과 선진국들의 모임인 세계경제개발기구, ‘OECD 가입’(13.5%)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응답으로는 안전한 치안과 높은 교육 수준 등이 있었다.

응답자들은 한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할 산업으로 ‘신재생에너지’(20,0%)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인공지능’(16.2%), ‘바이오․헬스’(13.4%), ‘지능형 반도체’(13.3%) 순이었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남성은 ‘인공지능’을, 20대는 ‘5G 차세대통신’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전쟁의 폐허에서 GDP 규모 세계 12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역사적 성취와 한국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고자 실시했다”고 이번 국민 인식조사에 대한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김 실장은 “국민 과반수 이상이 최우선 과제로 저출산․고령화 대응 및 일자리 창출을 꼽은 것과 함께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신재생에너지와 인공지능 등이 선정된 것이 눈에 띈다”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관련 산업을 적극 개발하도록 정부 차원의 규제완화와 세제지원으로 기업활력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