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일 수입의존도, 통계 작성 후 최초로 한 자리수 진입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소재부품산업보다는 여타 산업에 더 큰 영향을 주면서, 한국경제의 대일 수입의존도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일본 수출규제 1년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대일 수입비중이 통계작성 이래 최초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고 26일 발표했다.

실제로 지난해 분기별 소재부품의 대일 수입비중은 등락을 거듭했으나, 1분기 15.7%에서 4분기 16.0%으로 소폭 상승했다. 반면 전체 대일 수입비중은 같은 기간 9.8%에서 9.0%으로 하락했다. 규제대상으로 꼽힌 소재부품보다 다른 산업에서 감소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지난해 국내 총수입액 5033억4000만달러 중 대일 수입액은 475억8000만달러(9.5%)로, 1965년 이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하지 못했다.

대한상의는 이와 관련해 민관의 협력을 통해 핵심품목 국산화 및 수입다변화 등 공급안정화 노력을 기울이고, 일본도 규제품목 수출허가 절차를 진행하면서 공급 차질을 겪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또한 일본과의 경제적 연결성이 느슨해지는 과정에서 수출규제가 다른 산업의 수입비중을 줄인 것으로 봤다.

   
▲ 日수출규제 전후 대일 수입비중 추이(단위:%)/자료=대한상공회의소


이처럼 대일의존도가 줄어들면서 국내 기업들도 일본 수출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에서 빗겨난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상의와 코트라가 일본과 거래하는 기업 3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84%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피해가 없었다고 응답했으며, '피해 있었다'는 비중은 16%에 머물렀다.

피해 내용으로는 △거래시간 증가(57%) △거래규모 축소(32%) △거래단절(9%) 등이 꼽혔지만, 일본 수출규제가 기업 경쟁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91%가 '큰 영향 없었다'고 답했다.

또한 정부의 일본 수출규제 대응조치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본 비율은 85%에 달했으며, 규제개선과 R&D지원 및 공급망 안정화 등이 개선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응답기업의 절반 가량이 일본과의 협력관계를 최소한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했으며, 소부장 대책이 실질적 성과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존 정책도 검검·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일본 수출규제는 우리 산업계의 약한 고리를 찌른 것인데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가 됐다"며 "지난 1년간을 되돌아볼 때 단기성과도 있었지만, 앞으로는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점검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의 내실을 다져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