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첫 회의...플랫폼·일반 제작 지원책 요구할 듯
저작권료·사전심사 관계부처 합동 대책 필요성도
   
▲ /사진=각 사 제공


[미디어펜=권가림 기자]정부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들이 외산 OTT 대응과 시장 진흥을 위한 정책 마련 논의에 첫 발을 뗀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 정책담당 실무자와 웨이브·티빙·시즌·왓챠 등 OTT 4사의 실무진으로 구성된 'OTT 정책협력팀'이 오는 28일 첫 회의를 열고 OTT 시장의 전반적인 진흥책과 규제 등에 대해 브리핑하는 자리를 갖는다. 

방통위 관계자는 "첫 회의에서는 정부와 사업자 간 목소리를 허심탄회하게 교환한 후 주요 사안을 선정해 정기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OTT 시장은 신규 콘텐츠 제작 혹은 제작자 매수 등을 포함해 콘텐츠 생태계 마련에 자금을 얼마나 투입하느냐의 싸움으로 바뀌고 있다. 이 때문에 사업자들은 콘텐츠 직접 제작지원 대상 개선, 제작비 세제지원 등의 지원책을 요구할 전망이다. 

사업자들의 콘텐츠 제작비는 단기간 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올해 160억달러(약 18조9664억원)를, 아마존과 애플은 각각 60억달러(약 7조1124억원), HBO는 30억달러(약 3조5562억원)를 투입한다. 디즈니의 경우 투자비는 넷플릭스보다 적지만 자체 콘텐츠 경쟁력으로 독자생존이 가능한 업체로 손꼽히고 있다.

국내 사업자들의 고충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에이스토리가 제작해 넷플릭스를 통해 유통한 '킹덤'은 회당 제작비가 약 23억원인 반면 한국 드라마에는 4억~5억원이 들어간다. OTT 시장은 소위 돈 넣고 돈 먹는 시장이지만 자본 확충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진출은 고사하고 국내에서 글로벌 OTT를 버티려면 이에 맞는 수준의 대작이 시급하다"며 "현재 소소하게 진행하고 있는 진흥원 포맷, 자막 제작 사업 지원 외에 OTT 플랫폼과 일반 제작에 대한 예산 반영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저작권료 문제도 테이블 위에 올려 놓는다. 월 구독료 대신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OTT가 급성장하자 음원·영화 저작권자들은 사용료 견적을 다시 뽑자고 요구하고 있다. 

음악저작권협회는 음원사용료징수규정에 따라 종전 0.56% 수준만 받던 저작권료를 2.5%로 5배 가량 인상해 달라는 입장이다. 넷플릭스가 2.5%의 저작권료를 지불하기로 계약했기 때문이다. 이는 VOD 서비스인 IPTV의 요율보다도 3~4배 높은 수수료다. 웨이브·티빙·왓챠는 합리적인 수준의 저작권료를 요구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격으로 수입영화 배급사 14곳도 OTT 사업자에 저작권료를 더 내라고 요구하며 배급을 중단한 상태다. 

영상물 사전심사제도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OTT 사업자는 콘텐츠를 수급할 때 문화체육관광부의 영상물 등급 심의 등을 받아야 하는데 매달 봇물처럼 쏟아지는 콘텐츠 수량 탓에 심의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 그 사이 경쟁 플랫폼은 특정 콘텐츠를 전 세계에 먼저 서비스 해 이용자들을 빼앗아 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당장 내년에 디즈니+가 한국에 진출하면 심의 통과에 필요한 시간은 지금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심의 비용도 부담이다. 영상물 심의 비용은 10분당 1만원이고 해외 영상 콘텐츠의 경우 7000원 더 비싸다. 120분 분량의 해외 영상이면 20만4000원이 필요하다. 수천편의 영화·드라마를 업데이트하면 비용 부담은 높아진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저작권과 심의 관련해서는 문체부 주관이지만 코 앞에 놓인 문제인 만큼 관계부처 합동 해결책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사업자마다 비즈니스 모델이 달라 방통위가 언급한 '협업형 해외진출'은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렵고 방송법 내 편입 등 규제 완화와 진흥책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권가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