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훈언론상 심사위원회(위원장 조용중·한승헌)는 2일 2014년도 관훈언론상 4개 부문별 수상작을 발표했다.

심사위원회는 “모두 74건의 우수한 응모작이 출품됐으며, 2주일 동안 2단계의 엄정한 심사를 거쳤다”고 공개하고 “비록 4작품만 수상작으로 선정했지만 최종 심사에 오른 다른 8건의 후보작도 크게 모자라지 않는 수작(秀作)들이었다”고 설명했다.

시상식은 오는 10일 오후 6시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관훈클럽(총무 이용식 문화일보 논설실장) 주최로 열리며, 상금은 부문별로 각 1000만원이다.

관훈클럽은 1977년 관훈언론상을 제정해 1개 작품과 최병우기자기념국제보도상을 시상해 왔으나 올해부터 4개 부문으로 확대해 시상하기로 했다.

부문별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 사회 변화 부문 : 송파 세 모녀 사건 발굴 보도 및 후속보도
<연합뉴스 이슬기·하채림·김연숙 사회부 기자>
◆ 권력 감시 부문 : 윤 일병에 대한 가혹행위 폭로 및 후속 보도
<KBS 윤진·황현택 정치외교부 기자>
◆ 국제 보도 부문 : 일본 극우 대본영 ‘일본회의’ 실체 보도
<중앙일보·JTBC 김현기 도쿄특파원>
◆ 저널리즘 혁신 부문 : 형제복지원 대하 3부작 보도
<한겨레 박유리 토요판팀 기자>

관훈언론상 2차 심사평

이재경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2014년도 관훈언론상 심사는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출품작 74개 모두 우열을 쉽게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좋은 기사들이었고, 그 가운데 4개만 수상작으로 골라야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1차 심사를 거쳐 선정된 4개 분야별 3개씩, 모두 12개의 후보작은 더욱 수작(秀作)들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언론계가 올 한해도 훌륭한 기사들을 많이 보도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사평을 빌어 감사와 격려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심사 과정]
수상작을 단수로 확정하기 위한 심사는 11월 27일, 28일 이틀에 걸쳐 진행됐습니다. 심사위원장(공동)은 조용중 전 연합통신 사장, 한승헌 전 감사원장이 맡았고, 위원으로는 전현직 언론인 및 언론학자 등 열 분이 참여했습니다.

최종심사 첫 날에는 예비 심사에서 4개 부문 별로 3개씩 추천한 12개의 수상 후보작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는 데 대부분 시간을 보냈습니다. 심사위원들은 부문별 예심 심사평을 참고하며, 후보기사들을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방송보도는 보도영상을 함께 보며, 윤리적 고려사항, 영상의 출처, 취재의 진실성 등을 꼼꼼하게 확인했습니다.

신문·통신 기사들은 기사의 파급력이나 취재 기법의 혁신성, 전체 언론보도 맥락에서 후보기사가 차지하는 의미 등을 역시 세밀하게 토론했습니다. 이러한 검토과정에서 추가 확인이 필요한 사항들은 후보기사별로 각 언론사 책임자에게 연락해 보충자료를 제출받았습니다. 

관훈 언론상 수상작들은 최종심사 둘째 날 모두 결정됐습니다. 충분한 토의를 거친 뒤 심사규정에 따라 각 부문별로 출석위원 과반수의 표를 얻은 후보가 수상작으로 선정됐습니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은 후보가 없는 부문은, 3위 후보를 제외하고 결선투표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관훈언론상의 권위에 걸맞게 이 과정은 매우 치열했습니다. 회사나 매체별 안배를 원천적으로 배제하고 기사의 우수성만 고려하는 심사원칙 때문에 더욱 치열하게 토론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각 부문별 토론를 거쳐 종합토론을 다시 한 뒤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종합토론 과정에서 일부 심사위원들이 윤일병 사망과 관련된 가혹행위 보도(KBS 윤진 황현택 기자)는 ‘사회변화’부문에 출품됐으나, 군대라는 폐쇄적 집단의 부조리를 파헤졌다는 점에서 ‘권력감시’ 부문으로 옮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언론상 규정 검토와 토론 절차를 거쳐 심사위원회가 이를 수용했습니다.

[사회 변화 부문]
이렇게 치열한 논의를 거쳐, 부문별 수상작이 결정됐습니다. 사회 변화 부문은 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외 2명이 제출한 “송파 세 모녀 동반자살 사건 보도”를 수상작으로 선정했습니다. 자칫 묻힐 뻔한 사건을 조명해 한국 복지제도의 사각지대를 드러낸 공적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 보도는 일보 이후 커다란 사회적 반향을 만들어 냈고 “송파 세 모녀 법”이라 불리는 법률개정안까지 만들어내, 그야말로 “사회변화”의 촉매기능을 확실히 수행했습니다. 경향신문 강진구 부장 등 5명의 기자가 함께 보도한 수능 출제 오류 건도 용기 있는 문제제기와 끈질긴 후속보도자세가 높이 평가됐습니다.

[권력 감시 부문]
권력 감시 부문에서는 KBS 윤진, 황현택 기자가 출품한 “육군 28사단 윤 일병 폭행 사망사건”을 수상작으로 선정했습니다. 이 기사는 접근이 쉽지 않은 군 부대 수사 기록과 병원 자료 등을 집요하게 확보하고 치밀하게 분석해 이 시대 병영문화의 어두운 면을 드러낸 점이 높이 평가됐습니다.

‘시스템·관행·제도상의 은폐된 부패구조 파헤치기’라는 관훈언론상 규정에도 잘 부합됩니다. 이 사건의 보도는 그 후 전군에 걸쳐 병영문화 개선의 논의가 확산 되는 데도 결정적으로 기여했습니다.

[국제 보도 부문]
국제 보도 부문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시리아 내전을 현지 취재한 KBS보도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를 현장에서 깊이 있는 시각으로 파고든 조선일보 보도가 최종심에 올라왔지만 수상작은 중앙일보-JTBC 김현기 도쿄특파원의 “아베 내각 접수한 극우 대본영 일본회의” 기사로 결정됐습니다.

특파원이 직접 일본회의 집회에 참가해 현장을 확인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해 아베내각 각료 19명 가운데 15명이 이 조직 소속임을 밝혀냈습니다. 일본의 유력지인 아사히, 도쿄 신문 등은 이 기사를 토대로 후속 특집기사를 쓰기도 했고, 미국 뉴욕타임스도 중앙일보 기사를 인용 보도했습니다.

[저널리즘 혁신 부문]
저널리즘 혁신부문은 결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JTBC의 세월호 보도, YTN의 유독물질에 관한 GIS보도, 그리고 한겨레신문이 출품한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한 소설적 기법의 내러티브 보도는 각각 특별한 장점과 함께 부분적인 고민거리들도 안겨줬습니다.

특히 YTN 보도와 관련, 그 발상과 노력을 높이 평가했지만 다른 언론사에서 많이 시도됐다는 점에서 아쉽게 최종 수상작에는 선정되지 못했습니다. 부산지역 석면 문제를 다룬 부산일보 기사 역시 YTN 보도 못지 않은 호평을 받았습니다. 특히 신문에서 시도한 오픈 저널리즘적 혁신성을 높이 평가한 심사위원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심 판단을 존중해 수상대상에 추가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난상토론 끝에 표결에 들어갔습니다. 세 차례에 걸친 표결 끝에 수상작은 한겨레신문 박유리 기자가 출품한 형제복지원 대하 3부작으로 결정됐습니다.

너무 정통 저널리즘과 멀어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지만 열독율이 떨어지고 있는 신문이 독자와 새로운 방법으로 소통하기 위한 치열한 고민과 노력, 그리고 상당한 결과물이 나왔다는 점에 심사위원들이 높은 점수를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