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근로자 안전사고 5년간 86건 최다...지난해 사망 3건 모두 부산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부산항만공사가 관리하는 부두시설 내 항만근로자들의 사망사고 포함 안전사고가 빈발, '사고뭉치' '죽음의 작업장'이란 오명을 쓰게 됐다.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민낯'이 드러난 셈이다.

   
▲ 부산항만공사 부두시설 [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1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진·어기구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부산, 인천, 울산, 여수·광양 등 국내 4대 항만공사 부두시설 내에서 발생한 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는 총 214명이었다.

부산항만공사에서 발생한 사고가 8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울산항만공사 61건, 인천항만공사 58건, 여수·광양항만공사 9건 순이었다.

부산은 지난 2016년 12건, 2017년 14건, 2018년 17건, 2019년 19건 등 증가세다.

특히 사망사고는 총 11명이었는데 부산이 7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인천 3명, 울산 1명이다.

지난해 사망자는 3명 나왔는데, 모두 부산항에서 발생했다.

컨테이너 검수 도중 컨테이너 사이에 끼이는 사고, 정비창고 내의 기계오작동, 부두 내 야드트랙터와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사망사고였다.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고 김용균씨에 이어 올해도 사망사고가 발생한 태안화력보다도, 부산항만공사가 훨씬 더 노동자 안전에 취약한 '죽음의 직장'으로 전락한 셈이다.

더욱이 부산항만공사는 최근 5년간 편성된 안전예산 1140억 6900만원의 69.4%만 집행, 4개 항만공사 중 가장 낮은 집행률을 기록했다.

이어 울산 74.1%, 여수·광양 74.5%, 인천 89.1%였다.

이렇게 노동자 안전을 '나 몰라라' 내팽개친 부산항만공사의 '안전불감증'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중대재해기업 특별법이 통과될 경우, 공공기관 중 가장 먼저 타깃이 될 가능성이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최근에는 입항한 러시아선원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확진 관련, 항만관리 부실도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한편 4대 항만공사 전체 인명사고를 사고유형별로 보면, 추락과 낙하사고가 58명으로 가장 많고, 접촉 및 충돌사고 49명, 기계나 물체 사이에 끼이는 협착사고가 43명이었다.

김영진 의원은 "항만 내 하역작업 시설에 충분한 안전장치가 마련되고 안전교육이 제대로 시행됐더라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며 "더는 산업재해 피해가 벌어지지 않도록,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어기구 의원은 "수십 억에서 수백 억원의 안전예산을 집행하고 있지만, 항만 내 안전사고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면서 "특히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주로 사고를 당하는데, 관리 역량이 부족한 개별 업체보다 공사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