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제조업 일자리 19만개 감소…고용유지 역점 둬야"
   
▲ 산업단지 [사진= 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9월에 헬스케어, 미용, 여가 등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일자리 83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던 제조업에서마저 일자리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종관 연구위원은 21일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처럼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사라진 일자리 수가 4월과 9월에 각각 108만개, 83만개에 달한다고 추정했는데, 4월은 코로나 첫 확산, 9월은 코로나 재확산의 정점이었다.

그는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예상되는 취업자 수 추이를 추정해보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해 증감 추이를 산출했다.

9월에 일자리 83만개가 줄었다는 것은 코로나19가 없었을 경우 추정해본 취업자 수와 실제 9월 취업자 수를 비교해 본 결과 83만개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기본적으로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줄여 이 부분에 고용 충격이 집중됐다고 진단했는데, 특히 5월의 경우 사라진 전체 일자리 92만개 중 지역서비스 일자리가 84만개로 91%에 달했다고 밝혔다.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등을 의미하며, 특히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업종은 헬스케어, 미용, 여가, 교육, 여행 등이다.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생활에 덜 필수적인 서비스 업종에 대한 소비를 더 줄였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지역서비스업을 넘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교역산업에도 고용 충격이 발생하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2월부터 9월까지 모두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충격이 파급되면 앞으로 10년에 걸쳐 그만큼의 서비스업 일자리가 해당 제조업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그는 경고했다.

8월과 9월에 교역산업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각각 15만개, 19만개로 사라진 전체 일자리의 26%, 23%를 차지, 3~7월 중 9~15% 비중을 차지하던 상황과 뚜렷한 차이를 드러낸다.

통상 교역산업에서 일자리 증가는 지역서비스업에 대한 수요 확대로 이어져 추가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를 내므로, 이 연구위원은 교역산업은 단기적으로 고용 유지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역산업에서는 일자리가 일단 사라지면 단기간에 다시 생기기 어렵고, 지역서비스업에 2차 고용 충격을 주므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그는 지역서비스업은 취약계층 보호에 방점을 찍었는데, 코로나19 확산이 완벽히 제어되지 않는 한 수요를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직접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