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연말 종료 앞둔 농협 사업구조개편 대해부(6)-조합원도 소비자도 사업효과에 불만(상)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개편이 '지지부진'하다보니, 농민조합원들과 회원조합들도 그 효과에 '불만'이고, 만족도는 '낙제점' 수준에 머물고 있다.

   
▲ 농협중앙회 본부 건물 [사진=연합뉴스]


농협의 경제사업활성화는 '농업소득 주도 성장'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가 목표다.

농협중앙회는 '농협 경제사업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면서, 경제사업 미래 비전으로 '농업인 소득증대'와 '농축산물 가격안정'을 표방하고, 2017년 12월에는 '농가소득 5000만원 시대를 위한 범농협 농가소득 증대 종합추진계획'을 세워, 2020년 농가소득 5000만원을 목표로 설정했다.

그러나 지난해 농가소득은 4118만원에 그쳐, 이 목표 달성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이중 가장 중요한 농업소득은 1026만원에 불과, 농업외소득(1733만원)과 이전소득(1123만원)보다 더 적다.

그나마 2018년(4207만원)까지 꾸준히 증가하던 농가소득은 지난해 감소를 면치 못했다.

특히 농업소득은 1995년 1047만원보다도 작년이 더 적어, '거꾸로 성장'을 하고 있으며, 농업총수입에서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9.8%로 1990년 69.0%의 '반토막'도 못된다.

농업소득 제고를 위한 핵심 과제는 농가 수취가격을 높이는 것인데, 그 척도인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사업구조개편 전인 2011년 107.6에서 지난해 109.1로 '제자리 걸음'이다.

농산물과 농가가 구입하는 생활용품 및 농기자재 등의 가격상승폭을 비교, 농가의 채산성을 파악할 수 있는 농가교역조건지수도 같은 기간 104.0에서 104.7로 거의 변화가 없으며, 더욱이 최근 3년간은 2017년 106.6에서 계속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9년간 수취가격의 척도인 농가판매가격지수와 채산성의 가늠자인 농가교역조건지수 등이 정체를 면치 못하고 있어,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농업인 체감 효과가 미흡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농협의 거래교섭력 및 판매가격 제고, 농산물 유통비용 절감 노력이 아쉬운 대목이다.

그러다보니,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농민조합원 및 회원조합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제사업활성화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도 낙제점 수준이다.

농민조합원의 경우, 최근 조사연도인 2018년 기준 평균 만족도가 100점 만점에 56.7점에 불과하며, 특히 사업구조개편 인지도는 14.1점, '전년대비 농협이용 비율 증가여부'는 54.4점이다.

회원조합들은 평균 만족도가 100점 만점에 51.8점으로, 농민조합원보다 더 '불만족'이다.

'구조개편 정보제공 정도 평가'는 45.7점, '농협 계통구매 효과 평가'는 50.3점에 머물고 있어, 더 저조한 편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농협중앙회는 사업구조개편에 대한 홍보 강화, 농협 경제사업 이용확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사업 시행 등을 통해 농민조합원 및 회원조합의 만족도를 높여, 농업.농촌에 실질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