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양책 부재 시 경기 후퇴 우려...부양책이 연말 경제와 금융시장 좌우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로 코로나19 사태 극복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됐지만, 문제는 백신이 아니라 미국 경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백신 상용화에 따른 근로소득 증가 속도보다 실업급여 재원 소진에 따른 이전소득 감소 속도가 더 빠르므로, 핵심은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 여부라는 것.

   
▲ 미국 재무부 청사 [사진=미 재무부 페이스북 공식페이지 제공]


백신이 미국 경기를 회복시키는 경로는 '고용개선→개인소득 회복→소비회복'인데, 문제는 백신 상용화 시점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미국 가계소득의 핵심 결정요인은 고용개선이 아니라 실업수당 덕분이었다는 점에서다.

지난 3월 이후 미국의 개인소득은 9월 기준으로 1조 달러 가량 증가했는데, 근로소득은 290억 달러에 불과하고 300 달러의 실업급여에 따른 이전소득은 8661억 달러나 급증했다.

향후 고용지표 개선으로 근로소득이 늘어나겠지만, 문제는 현재 중앙정부 실업급여 재원이 고갈을 앞두고 있다는 점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실업급여가 300 달러로 축소됐을 때, 이전소득은 1달 만에 7250억 달러 감소했다"면서 "이를 적용해보면, 연방정부 실업급여 300 달러 추가 축소 시 이전소득은 3조 4000억 달러 줄어들고, 3월 이후 이전소득 증가분은 기존 8661억 달러에서 1404억 달러로 급감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미국 가계의 소득원이 크게 바뀌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백신이 소득을 늘려주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결국 여전히 핵심은 미 정부의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현재 상원 다수당 지위를 놓고 공화-민주 양당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추가 부양책은 '가부'의 문제가 아니라 '시기'의 문제라는 얘기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연말까지 부양책의 집행이 어떻게 이뤄지는지가 핵심 변수로 부상할 전망"이라며 "부양책 부재 시 '경기 후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