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기업별 면밀한 준비 필요…중국 포용하면서 한미동맹 이용해야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 절차가 본격화 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면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변화가 예상되는 통상정책과 국제 질서에 빠른 적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24일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미 연방총무청(GSA)은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를 공식 승인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정권인수 절차에 협력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당선인. /사진=조 바이든 트위터

미 대선 갈등이 봉합국면으로 접어드는 가운데 재계에서는 바이든 당선인의 경제 정책을 활용해 ‘포스트 코로나’ 전략에 힘을 붙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글로벌 시장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우선 재계는 향후 바이든 정부 출범 후 사업환경이 트럼프 정부 때와 비교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바이든 정부 출범의 산업계 영향과 대응과제’에서 응답 기업 65.3%가 ‘변화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뜯어보면 업종별, 기업별로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압박 지속, 환경규제 강화, 미국산 구매 등에 대한 선제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바이든 당선에 따른 우리 기업의 대응수준은 아직까지 적극적인 단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든 당선변수를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반영중’ 또는 ‘반영계획중’인 곳이 37.3%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글로벌 무역질서 재편, 친환경 트렌드 등 성장기회를 적극 활용하면서 환율변동, 탄소절감 등 위기요인에 대해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협력채널 구축과 세부전략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에서도 중국과의 극적인 관계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 가운데 한국 정부의 외교 정책이 기업 경영 전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진행한 인터뷰에서 빅터 차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기후변화 관련 이슈와 팬데믹 시대의 백신 등 전세계적 협력 아젠다에 협력하지만, 공급망 다변화와 5G 네트워크 안보, 인권 이슈 등에서는 여전히 긴장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향후 한국은 전략적 접근이 중요한 상황이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 한미동맹을 지렛대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존 햄리 CSIS 소장은 미·중 2강 사이에 놓인 한국에 대해 “경쟁이 앞으로도 더 격화될 것은 분명하지만 한미 기업 모두에게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거대한 소비시장인 점에서 같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이 경제적 이익에 부합하는 중국을 계속 포용하면서 한미동맹을 안보의 밑받침으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