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에 따라 국내 화학업계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 뉴시스 자료사진

저유가 시대라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한 데 이어 중국은 빛의 속도로 쫓아오고 있고 해외의 각종 환경 규제는 수출의 발목을 잡고 있다. 화학업계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친환경’이라는 카드를 빼들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GS 칼텍스는 친환경 화학원료인 바이오 부탄올의 상업화에 나서고 있다. 저유가가 지속됨에 따라 연료보다는 의약품·화장품·페인트·합성고무의 원료로 판로를 찾겠다는 계획이다.

SK케미칼은 환경 호르몬을 유발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비스페놀A를 사용하지 않은 바이오 플라스틱 '에코젠'의 영업확대에 나섰다. 곧 에코젠을 가입자식별카드(USIM)와 프리미엄 칫솔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금호석유화학은 타이어용 친환경 고무인 SSBR에 이어 기존 아스팔트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1% 적은 친환경 첨가제 '리드캡(LEADCAP)'으로 신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최근 전북·익산의 도로 공사에 적용하는 등 사업영역의 팽창 중에 있다.

이처럼 화학업계가 친환경 제품 개발에 나서는 이유 중 하나는 우선 중국 후발주자들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서다.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의 경우 중국의 지난해 총 생산량은 1830만톤으로 우리나라(840만톤)의 두 배가 넘었다. 범용 플라스틱·합성고무 등도 중국 업체들에 밀리고 있다.

또 친환경 트렌드와 함께 해외 수출 시장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탈리아의 경우 지난 2011년 흔히 사용되는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했으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등에서 생분해성 제품 사용을 권장하는 등 섬유·석유화학 제품규제가 날로 강화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기능성뿐만 아니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와 국가 규제로 업체마다 친환경 제품 사업을 넓혀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류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