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저수지 3411개소 유지관리·성능개선 방향 제시
   
▲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집중 안전점검 [사진=한국농어촌공사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올해 긴 장마와 집중호우로 대규모 수해가 발생한 가운데, 재발 방지를 위한 첫 농업용 저수지 관리계획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오는 2025년까지 저수지 3411개소에 대한 유지관리와 시설개선 방향을 제시한 '제1차 농업용 저수지 관리계획'을 마련,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대형 재해에도 대처 가능한 저수지 구축, 안전 점검·진단 등 평상시 안전관리 수준 상향,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저수지 관리 정착이 목표다.

우선 태풍, 호우, 지속적인 강우 발생 시에는 사전방류를 통해 저수량을 조절하는 수문 등을 확대 설치해, 저수지의 안전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또 70년 이상 된 노후 저수지 중 저수용량 30만㎥ 이상이거나 둑 높이 15m 이상이면, 전면적인 보수·보강을 검토할 방침이다.

저수용량 30만㎥ 이상인 저수지는 내진성능 평가와 내진보강을 2025년까지 완료한다.

아울러 30만㎥ 미만 중·소규모 저수지도 정기 안전점검 등 평상시에 시행하는 안전관리를 내실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저수용량 30만㎥ 이상 저수지는 주기적 정밀안전진단을 5만㎥ 이상부터 적용하고, 저수지 붕괴 등에 대비해 수립하는 비상대처계획 대상도 30만㎥ 이상에서 20만㎥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안전관리 교육과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전기비저항탐사장치 등 안전점검 등에 필요한 장비를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저수지 둑 변형, 누수 등 이상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수질 실시간 계측을 확대하는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저수지 관리도 정착시키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저수지 붕괴나 사고 발생은 하류 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에 직결된다"며 "내년부터 농어촌공사와 합동으로 매년 실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보완하는 등, 실행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