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증시 호조에 힘입어 지난 3분기 파생결합증권(ELS·DLS)의 조기상환이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100조 9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6.2%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발행액(16조원)이 1.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상환액(22조 1000억원)이 66.2% 급증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금감원 측은 글로벌 증시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수 조정에 따른 손실을 예상한 투자자의 파생결합증권 수요가 위축되면서 조기상환에 비해 신규발행이 정체됐다고 설명했다.

종류별로 보면 주가연계증권(ELS·ELB)의 3분기 발행액은 9조 8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7.5% 감소했다. 상환액은 186.3% 많은 14조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원금보장형 발행액은 1조 7000억원으로 2분기 대비 65.3% 감소했으나, 원금비보장형 발행액은 8조 1000억원으로 42.1% 늘어난 모습이다. 이 중에서 원금보장비율이 80% 미만인 고난도 ELS 발행은 7조 7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45.3% 늘었다. 이는 전체 발행액 중 78.8%에 해당한다.

S&P500,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글로벌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2분기보다 감소했지만,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잔액(23조 4000억원)만 2.6% 늘어났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 중 레버리지 비율 산정 시 국내지수 ELS에 대한 가중치 추진 방침에 따라 관련 ELS의 발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3분기 DLS 발행액은 6조 2000억원이었다. 원금 보장형 발행액은 4조 4000억원으로 46.7% 늘었으나 원금비보장형은 1조 8000억원으로 21.7% 감소한 모습이다. DLS 상환액은 2분기보다 8.5증시 호조에 힘입어 지난 3분기 파생결합증권(ELS·DLS)의 조기상환이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100조 9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6.2%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발행액(16조원)이 1.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상환액(22조 1000억원)이 66.2% 급증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금감원 측은 글로벌 증시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수 조정에 따른 손실을 예상한 투자자의 파생결합증권 수요가 위축되면서 조기상환에 비해 신규발행이 정체됐다고 설명했다.

종류별로 보면 주가연계증권(ELS·ELB)의 3분기 발행액은 9조 8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7.5% 감소했다. 상환액은 186.3% 많은 14조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원금보장형 발행액은 1조 7000억원으로 2분기 대비 65.3% 감소했으나, 원금비보장형 발행액은 8조 1000억원으로 42.1% 늘어난 모습이다. 이 중에서 원금보장비율이 80% 미만인 고난도 ELS 발행은 7조 7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45.3% 늘었다. 이는 전체 발행액 중 78.8%에 해당한다.

S&P500,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글로벌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2분기보다 감소했지만,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잔액(23조 4000억원)만 2.6% 늘어났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 중 레버리지 비율 산정 시 국내지수 ELS에 대한 가중치 추진 방침에 따라 관련 ELS의 발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3분기 DLS 발행액은 6조 2000억원이었다. 원금 보장형 발행액은 4조 4000억원으로 46.7% 늘었으나 원금비보장형은 1조 8000억원으로 21.7% 감소한 모습이다. DLS 상환액은 2분기보다 8.5% 감소한 7조 5000억원이었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규모는 지난 9월말 기준 58조 4000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8.6% 줄었다. 비중 역시 59.4%에서 57.8%로 1.6%p 줄어든 모습이다. 금감원 측은 "3월 글로벌 증시 급락 과정에서 발생한 ELS 마진콜 사태를 경험하면서 대형사 위주로 자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익은 투자자의 3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 DLS는 1.3%였다. 2분기 대비 각각 0.5%p, 0.9%p 늘어났다.

아울러 증권회사의 발행·운용 손익은 3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모습이다. 2분기보다 4082억원이 늘었는데, 글로벌 증시 상승으로 조기 상환이 활발해지고 증권사들의 헤지자산 거래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감소한 7조 5000억원이었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규모는 지난 9월말 기준 58조 4000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8.6% 줄었다. 비중 역시 59.4%에서 57.8%로 1.6%p 줄어든 모습이다. 

금감원 측은 "3월 글로벌 증시 급락 과정에서 발생한 ELS 마진콜 사태를 경험하면서 대형사 위주로 자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익은 투자자의 3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 DLS는 1.3%였다. 2분기 대비 각각 0.5%p, 0.9%p 늘어났다.

아울러 증권회사의 발행·운용 손익은 3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모습이다. 2분기보다 4082억원이 늘었는데, 글로벌 증시 상승으로 조기 상환이 활발해지고 증권사들의 헤지자산 거래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