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증권사들의 해외 대체투자분 중에서 손실이 예상되거나 원리금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투자 규모가 7조 5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 사진=미디어펜


금융감독원은 22개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규모가 48조원(864건) 수준이며 부동산에 23조 1000억원(418건·작년 4월말 기준)을, 특별자산에 24조 9000억원(446건·작년 6월말 기준)이 각각 투자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중에서 31조 4000억원은 투자자에게 재매각했고 16조 6000억원은 증권사들이 직접 보유 중이다.

증권사의 해외투자는 주로 국내 운용사 펀드를 인수한 후 재매각 또는 보유하거나 역외펀드를 기초로 파생결합증권(DLS)을 발행·판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증권사가 재매각 목적으로 투자했으나 재매각하지 못한 상태로 6개월을 초과해 보유하는 투자 규모는 3조 6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증권사 자체 점검 결과 '부실' 또는 '요주의'로 분류한 규모는 7조 5000억원(해외 부동산 4조원, 해외 특별자산 3조 5000억원)이었으며 이는 전체 투자규모의 15.7% 비중이다.

증권사 직접 보유분(16조 6000억원) 가운데 부실·요주의로 분류된 규모는 2조 7000억원이었다. 투자자 대상 재매각분(31조 4000억원) 중에서는 4조 8000억원이었다. 이 중에서 역외펀드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DLS의 부실·요주의 규모가 2조 3000억원이었는데 이는 전체 DLS 발행액(3조 4000억원)의 68%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에 금감원은 역외펀드 기초 DLS의 실태 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공모규제 회피 여부, 발행·상품심사 업무 실태 등 투자자 보호 절차의 적정성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함께 밝혔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