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인사들 대부분 내년도 금리동결 전망..."기대 인플레, 연준 물가목표제와 일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최근 치솟으면서 '물가 불안'이 꿈틀거리자,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상 등 '조기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일부 연준 인사는 내년 하반기 금리인상 전망까지 내놨다.

기대 인플레 대용 값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손익분기 인플레이션(BEI)은 10년 BEI가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경기 침체 우려로 이어지며 0.55%까지 급락했으나, 이달 7일(이하 현지시간)에는 2.10%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8년 10월 말 이후 최고치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연합뉴스]


또 10년 BEI는 2.07%포인트, 2년 BEI는 2.32%포인트까지 학대되면서, 장단기 스프레드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역전됐다.

BEI는 국채금리에서 동일 만기의 물가연동국채 금리를 차감해 계산하는 것으로, 채권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일정 기간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는 인플레 수준을 나타낸다.

2년 BEI는 앞으로 2년간, 10년 BEI는 10년간의 연평균 기대 인플레율을 의미한다. 

배한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로나19 백신 배포와 주요국들의 재정.통화정책 공조에 따른 올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최근 인플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다"면서 "금년 내내 인플레가 화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국 민주당의 백악관과 상.하 양원 석권에 따른 추가 부양책 기대도 여기에 가세했다.

실제 최근 공개된 미 연준의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에서는 경기의 업 사이드 리스크가 언급되며, 테이퍼링 논의가 이뤄졌음이 확인돼, 시장 일각에서는 조기 테이퍼링에 대한 관심이 부각됐다.

실제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면, 최소 2023년까지 현재의 '제로 금리'를 유지키로 한 연준의 정책 기조가 좀 더 일찍 바뀔 수도 있다는 것.

반면 다른 연준 위원들은 아직 기존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17명의 FOMC 위원 중 금년 내 금리 인상을 예상한 이는 전혀 없고, 내년 인상 전망도 1명에 불과하다고, 미 CNBC 방송은 지적했다.

대부분 전문가들도 금리 인상과 조기 테이퍼링 우려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위기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BEI 장단기 스프레드 최대 폭 역전은 단기 물가 모멘텀이 중장기보다 강하다는 것이며, 이는 시장이 연준이 도입한 '평균 물가목표제'를 신뢰한다는 의미"라며 "역전 폭이 조지아 상원 선거 이후 대폭 확대돼, 추가 재정정책으로 인한 '단기 물가 오버슈팅' 가능성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단기 기대 인플레는 목표치를 상회하지만, 중장기 기대 인플레가 목표 수준이라면, 이는 정확히 연준의 평균 물가목표제의 도입 의도와 부합된다"면서 "연준은 이 제도를 만들면서, 단기 물가 모멘텀을 근거로 긴축에 나서지는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각에서 우려하는 조기 테이퍼링은 '기우'라는 판단"이라며 "연준의 조기 긴축에 '회의적'이며, 테이퍼링 시기는 내년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