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37개국 중 3번째로 평균 확진자수 적어…치명률 '비슷'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오는 20일은 정확히 1년 전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중국인 여성이 국내 1호 확진자로 확인된 날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 상륙한지 1년 되는 날이다.

지난 1년간 코로나는 수많은 논란과 이슈를 낳았다. 본보는 온 국민의 삶을 뒤바꾸어버린 코로나 대유행의 전말과 세계 속 한국의 방역 현 주소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우선 전 세계 코로나 사망자는 200만 명을 넘어섰고 누적 확진자는 1억 명에 육박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8시 40분을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사망자는 200만 453명을 기록했고 누적 확진자는 935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확인됐다.

   
▲ 선별진료소 의료진이 코로나 진단검사를 준비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 발병이 처음 보고된 것은 2019년 12월 31일이다. 중국 우한발 코로나로 인해 총 380일 만에 전 세계에서 200만 명 이상이 희생된 것이다.

전 세계 사망자는 국가별로 미국(39만 7000명), 브라질(20만 7160명), 인도(15만 1954명), 멕시코(13만 6917명), 영국(8만 6015명) 순으로 많았다.

유럽 지역에서는 변이 바이러스 우려가 높아지면서 각국이 봉쇄 조치를 재도입하거나 강화하고 있지만 확산세는 여전하다.

한국의 경우 같은 날 15일 0시를 기준으로 사망자 1217명, 확진자 6만 5372명을 기록했고 4일이 지난 19일 0시를 기준으로 사망자 1283명, 확진자 6만 7135명으로 집계됐다.

후진국 중진국 등을 제외하고 의료 방역 수준이 유사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의 평균과 한국을 비교하면 차이는 다소 벌어진다.

지난 14일을 기준으로 인구 100만명 당 코로나 확진자 수를 비교하면 뉴질랜드 390명, 호주 1123명, 한국 1365명, 일본 2350명, 핀란드 7093명 순으로 적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온 미국은 인구 100만명 당 6만 7760명(35위)이 걸렸고, 선진국 중 하나인 영국의 경우 4만 6599명(26위)으로 확인됐다.

평균 치명률 또한 아이슬란드 0.49%, 일본 1.39%, 한국 1.69%, 미국 1.66%, 독일 2.18%, 영국 2.63%, 멕시코 8.72% 등으로 나타났고 OECD 평균 치명률은 2.09%로 집계됐다.

   
▲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연장으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매장 내 취식 불가 지침이 계속해서 이어지다가 지난 18일부터 1시간(강력 권장) 취식 가능으로 바뀌었다./사진=스타벅스커피코리아 제공
코로나의 전말은 다음과 같다.

중국 정부는 2019년 12월 31일 세계보건기구(WHO)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처음 보고했다.

6일 뒤인 지난해 1월 5일 장융전 중국 푸단대 교수는 허베이성 우한시를 중심으로 급속히 퍼지는 바이러스성 폐렴이 기존 코로나바이러스와 전혀 다른 변종이라는 점을 최초로 확인했다.

이와 관련해 에드워드 홈스 호주 시드니대 교수는 장융전 교수를 설득해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한국의 경우 당시 1월 13일 질병관리본부(현 질병관리청)가 유전체를 분석해 바이러스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고 검사법 개발에 착수했다.

미국 제약사 모더나 및 화이자는 이 유전체를 내려받아 mRNA 방식의 백신 시제품을 설계에 돌입했다.

지난해 1월 20일 관련 연구자들은 바이러스가 사람 간에 감염된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2월 15일 미 텍사스대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보다 10배 더 잘 달라붙는 구조임을 확인해 감염력이 높은 이유를 찾았다.

작년 1월 이후 지난 14일까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 집계 기준 총 9만 2000여 건의 관련 논문이 나왔다.

현재 한국 정부는 방역 조치로서 일명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및 조정을 거듭하고 있지만 확산세 예측이 어렵고 그때그때 신규 확진자 수에 일희일비 하는 등 거리두기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향후 과학자들의 제안과 백신 접종에 따라 확산세가 잠잠해질지 주목된다. 관건은 정치방역, 행정절차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에 따른 문제해결 접근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