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장금리 상승은 펀더멘탈 주도 국면...“정상화 경계 일러”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유럽중앙은행(ECB)이 21일(현지시간) 모든 통화정책의 '현상 유지'를 선택한 가운데, 미국에서는 국채금리 상승과 물가 불안으로 '통화정책 정상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상화에 대한 경계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이 많다.

연초 이후 미국은 장기물 위주로 국채금리 상승세가 두드러지는데, 민주당의 상.하 양원 장악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 기대감, 이에 따른 경제 및 물가 반등, 재원 마련을 위한 국채 발행 부담이 금리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연합뉴스]


특히 일부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이 금년 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가능성을 언급, 통화정책 정상화 걱정까지 부상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2.1%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통화정책 정상화에 계속 선을 긋고 있다.

김희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상방 위험이 우세하나, 연준이 '인플레 핼퍼'로 변모한 점에 주목한다"면서 "최근 금리 상승은 통화정책 진축보다, 펀더멘탈 회복이 주도하는 국면으로, 시장금리의 절대 레벨 상승은 부담스럽지 않다"고 분석했다.

또 "바이든표 부양책 규모 확정 후,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의 추가 통화완화 조치를 예상한다"며 "이후부터 금융시장은 시장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소득에 기반한 인플레가 상반기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면서 "투자 감소가 아니라, 정부 지원 증가에 힘입은 소득 증대가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민수 신한금투 연구원은 "연준은 지속적 자산매입과 기준금리 동결을 재차 강조했고, 물가는 상반기 '기저효과'에 따른 반등 이후 상승 지속성을 예단하기 어렵다"면서 "장기적 시각에서, 금리상승 가능성에는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박민수 NH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독일의 명목금리 차는 상반기 중 확대 기조를 지속할 전망이나, 실질 금리 차원에서는 연준은 조기 긴축 우려에 대응하며 시장 기대보다 완화적인 반면, ECB는 정책 수단 고갈 우려가 지속될 것"이라며 "이는 단기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실질 금리 차 축소 시도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