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학생 사교육비 지출 줄었는데…고등학생만 늘어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등교 수업 차질이 큰 상황에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최대 5배 차이가 났다.

대면 수업을 꺼리면서 초·중학생 1인당 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감소하고 사교육 참여율이 일제히 하락했으나, 진로·진학이 시급한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은 늘고, 사교육 참여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교 수업으로 채우지 못한 학습을 사교육으로 채운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지난해 3∼5월, 7∼9월 6개월간의 초·중·고교생 사교육비를 조사한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9일 내놓았다.

작년 전체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 총액은 약 9조 3000억원으로, 전년도 10조 5000억원보다 11.8% 감소했다.

   
▲ 수능시험장/사진=연합뉴스


초·중·고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66.5%로 7.9%포인트 하락했으며, 초등학교 69.2%, 중학교 66.7%, 고등학교 60.7% 순이었다.

초등학교에서 13.9%포인트, 중학교에서는 4.2%포인트 각각 떨어졌으나, 고등학교에서는 0.3%포인트 올랐다.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8만 9000원으로, 전년대비 10.1% 줄었다.

고등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가 38만 8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생 32만 8000원, 초등학생 22만 1000원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년보다 5.9% 늘었으나 중학생(-3.4%), 초등학생(-23.7%)에게서는 줄었다.

사교육 참여 학생만 따져보면,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 4000원으로 전년보다 0.3%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64만원으로 5.2%, 중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49만 2000원으로 2.5% 늘었다.

반면 초등학생은 9.0% 줄어든 31만 8000원으로 조사됐다.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일반교과 과목에서 사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를 보면 '학교 수업 보충'(50.0%), '선행학습'(23.7%) 순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만 보면 '학교 수업 보충'(47.7%)이 가장 많았으나, 그다음이 '진학 준비'(30.5%)로 집계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이 있었다"며 "교과 학습에 대한 학부모들의 학업 불안이 일정 부분 반영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구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은 높았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가장 많은 가구는 월 소득 최고 구간인 '800만원 이상'이었고, 이 구간 가구는 월평균 학생 1인당 50만4천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 지출이 가장 적은 200만원 미만(9만 9000원) 가구의 5.1배에 달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800만원 이상 구간에서 80.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7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79.9%),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74.2%)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율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최저 구간인 200만원 미만에선 39.9% 학생만 사교육에 참여했다.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보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31만 4000원)이 더 많고, 참여율(69.8%) 역시 높았다.

성적(고등학생만 조사)이 상위권일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늘어나 성적 상위 10% 이내 학생의 한 달 평균 사교육비는 48만 5000원으로, 성적 81∼100% 구간의 월평균 사교육비(27만원)보다 21만 5000원 많았다.

사교육 참여율도 성적이 좋을수록 상승, 상위 10% 이내 학생의 참여율은 71.8%로 나타났고, 성적 81∼100% 구간의 참여율은 49.1%에 머물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