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 영역은 개선 지표 많고 주관적 웰빙은 모두 악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우리 국민들의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대기질과 수질에 대한 만족도 등은 개선됐으나, 고용·실업 등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산하 통계개발원은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민 삶의 질 2020'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민 삶의 질 지표는 지난 2014년부터 작성됐으며, 11개 영역의 71개 지표(행정자료 21개, 조사자료 50개)로 구성돼있는데 지표별 자료의 시점은 서로 다르다.

71개 지표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전기 대비 개선·악화한 상황을 통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보여주는 방식인데, 2020년 업데이트된 지표 63개 중 전기 대비 개선된 지표는 40개, 악화된 지표는 23개였다.

   
▲ 국민 삶의 질 지표 상황판(2020년 12월 말 현재)/자료=통계개발원 제공


영역별로 보면 환경, 교육 영역에서 개선 지표가 많았고, 주관적 웰빙, 가족·공동체 영역은 악화 지표가 많았으며, 주거 영역은 개선 지표와 악화 지표 수가 같았다.

개별 지표를 보면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저임금근로자 비율, 월평균 임금 등은 지속적으로 개선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독거노인비율,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등은 악화되는 추세였다.

대기질 만족도와 수질 만족도는 과거에는 악화 추세였으나, 작년에는 코로나19로 대기 환경이 좋아져 지표가 개선됐다.

2020년 대기질 만족도는 38.2%로 2018년보다 9.6%포인트 상승했는데, 2년 단위로 조사되는 대기질 만족도는 2012년(40.1%) 이후 2018년(28.6%)까지 꾸준히 하락하다가 지난해 반등했다.

작년 수질 만족도도 37.7%로 2018년보다 8.4%포인트 올랐는데, 수질 만족도 역시 2012년(36.9%) 이후 2018년(29.3%)까지 계속 내리막이었으나 지난해 상승했다.

반면 코로나19 영향으로 악화된 지표는 고용률(60.1%)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낮아졌고, 실업률은 4.0%로 0.2%포인트 높아졌다.

아동안전사고 사망률, 주택임대료 비율, 삶의 만족도 등은  2019년 지표 기준으로 전년보다 악화됐다.

아동안전사고 사망률은 2019년 2.6명으로 전년보다 0.2명 증가했고,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2019년 16.1%로 2018년 15.5%보다 0.6%포인트 올랐다.

10점 만점 기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2018년 6.1점에서 2019년 6.0점으로 하락했다.

자살률은 2019년 인구 10만명당 26.9명으로, 2017년 이후 계속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0년 이후 2008년을 빼고는 지속적으로 늘다가, 2019년 3527만 7000원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