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에 떠밀려 번복…회사·인턴·예비구직자 모두 패자
   
▲ 조성일 경제진화연구회 청년위원

위메프의 인턴채용 논란이 기업의 갑질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11명의 인턴으로 2주간 고된 현장테스트를 받았지만, 한명도 정식채용되지 못했다는 점에 분노가 폭발했다. 일당 5만원에 하루 14시간씩 일을 한 날도 있었다고 하고 채용하지도 않은 사람의 계약을 회사가 판매하고 있다는 증언은 분노에 불을 붙였다.

그러나 이 분노는 방향이 잘못되어 가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지조차 불분명하다. 반기업정서에 기댄 실체 없는 비난이 분위기에 편승해 눈덩이처럼 커지는 형국이다. 위메프가 인턴을 모두 채용했어야 한다는 것인지, 고된 업무에 비해 일당 5만원만 지급한 것이 문제인지, 아니면 인턴이 따낸 계약을 판매한 것이 문제인지 정확한 합의도 없이 갑질이라는 키워드에만 매몰되어 있다.

인턴이 11명이었다니 그 중에 몇 명은 채용될 것이라 기대했을 것이다. 그러나 단 한명도 채용되지 않았다.

입사지원자를 선발하는 것은 기업의 고유권한이지만 애초에 채용의 의사도 없으면서 정식채용을 미끼로 염가에 일을 시켰다면 구직자를 기망한 것이다. 지원자는 정식고용의 기대치를 갖고 계약을 따내 회사에 이익을 안겨줬는데 애초에 목표했던 것이 존재조차 없었다면 심각한 사기다.

하지만 위메프 측의 해명 그대로 회사는 채용의 의사가 있었음에도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이 없었을 수도 있다. 회사는 11명 모두를 채용할 수도 한명도 채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업은 이윤추구집단이기에 회사에 이익을 안겨 줄 만한 역량을 지닌 사람을 채용하지 않을 기업은 없다. 그런 사람조차 채용하지 않는다면 회사는 잠재적 손실을 입는다. 어느쪽이 맞는지 현재로서는 확인 할 길이 없다. 전자는 의혹일 뿐이고 후자는 일반론이다.

   
▲ 위메프 메인로고 및 선택옵션들. /사진캡처=위메프 홈페이지 

때문에 실제 비난의 핵심은 회사가 인턴을 ‘해고’했다는 데 모아진다. 우리 사회는 해고라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우리 사회는 해고가 부당한 것이라는 정서상 해고를 했다는 말은 여론재판에서 문제의 주범으로 찍히고 들어간다. 그러나 이 사건은 엄밀히 말해 ‘해고’를 한 것이 아니다. 입사지원자중 합격자를 선발하기 위해 2주간 일을 시켜봤는데 한명도 합격하지 못했다는 말이 맞다. 애초의 의혹은 확인되지 않았기에 이 문제는 인턴을 실시한 뒤 어느 선까지 정식채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오는 충돌이다.

이 문제에 정답은 없다. 모든 경우의 수가 천차만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번 경우는 인턴 모두가 정식채용되면서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된 것 같지만 이것이 선례가 되고 사회적 합의가 된다면 인턴은 곧 신입사원 채용과정이 된다. 인턴기간은 실무적으로 서로가 얼마나 잘 맞는지 검증하는 탐색의 기간이다. 채용이 전제로 된다는 것은 위의 절차를 생략하는 것이고 정보는 부족해진다. 어쩔 수 없이 높은 스펙과 까다로운 면접 등의 절차를 거치며 실패의 가능성을 줄일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인턴제도의 본래 취지에 크게 벗어난다.

   
▲ 위메프박스 블랙프라이데이. /사진=위메프 제공 

인턴을 보호한다는 목적이 되레 인턴제도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고용을 줄이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위메프 측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잠재력을 갖춘 인력을 찾는 쪽으로 신입사원선발제도를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인턴과정을 통해 스펙을 뛰어넘어 능력을 증명할 방법이 줄어들었다.

위메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사원 선발의 기준과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했다면 잡음이 없었을 것이다. 여론이 안 좋아지자 은근슬쩍 전원채용으로 정정하고 말을 바꾸는 모습도 좋게 보이지 않는다.

회사는 이미지 손실을 입었고 그 과정에서 앞으로 채용의 문은 좁아졌다. 우여곡절 끝에 채용된 11명도 정상적으로 근무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회사와 인턴 그리고 예비 구직자들 모두 이번 논란의 패자다. /조성일 경제진화연구회 청년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