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대안포럼, 신안해상풍력 재검토 촉구…환경파괴·생태계 교란 걱정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2018년 대비 55% 확대…발전량 6.3% 증가 그쳐
[미디어펜=나광호 기자]문재인 정부가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호남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상식과 정의를 찾는 호남대안포럼'은 이날 전남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8.2GW 규모 신안해상풍력단지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는 설비용량일 뿐 발전량이 아니라는 것이다.

포럼은 성명을 통해 "국내 75개 풍력발전소의 효율은 평균 24%에 불과하고, 해상풍력의 강점을 강조한 산업통상자원부 스스로도 국내외 이용률이 30~50%라고 밝혔다"면서 "한국형 신형 원전 6기 발전량을 생산할 수 있고, 서울·인천지역 모든 가정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라는 것은 국민에 대한 기만"이라고 질타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월5일 전남 신안군 임자2대교에서 열린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48조 투자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은 2018년 1만3413MW에서 지난해 2만862MW까지 늘어났으나 발전량은 같은 기간 3만5598GWh에서 3만7830GWh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스발전도 설비용량은 3만7851MW에서 4만1170MW로 확대됐지만 발전량은 오히려 15만2924GWh에서 14만5893GWh로 감소했다. 반면, 원전의 경우 설비용량이 2만1850MW에서 2만3250MW으로 많아지는 동안 발전량은 13만3505GWh에서 16만184GWh로 급증했다. 이는 '역대급' 원전 발전량을 기록한 2016년에 이은 2위 기록이다.

이들은 "초고층빌딩 크기의 풍력터빈 1025개를 세울 경우 심각한 환경파괴와 생태계 교란이 우려된다"며 "풍력발전소의 수명은 진동에 따른 피로 하중 때문에 25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구조물과 날개의 처리가 후대의 우환거리로 남게될텐데 4대강 사업에 보였던 환경 훼손 걱정을 하지 않는다는게 신기할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풍력발전기가 가동되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해 즉시 가동할 수 있는 가스발전소를 함께 지어야 한다는 점을 들어 온실가스 감축 효과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 바람이 사라졌을 때 급하게 출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가스발전소를 상시 가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단지에 투입될 48조원은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비의 5배지만 전력 생산량은 동일하고, 송전탑 건설 비용 등을 감안하면 생산단가가 원전 보다 14배 비싸다는 점에서 차기 정권에서도 추진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며 "이를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려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호남 내외의 시민사회단체들과 연계하는 등 공감대를 확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신안주민들에게도 협동조합을 만들어 투자한 이익으로 평생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현혹하지만, 과거 새만금처럼 호남 득표용 불쏘시개로 이용만 당하고 장기간 방치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호남인들을 지역이기주의에 젖어 정권의 시혜나 바라는 우민으로 취급하지 말고, 그냥 우리를 좀 냅둬라"고 성토했다.

   
▲ 두모리 해역에 위치한 탐라해상풍력발전 설비/사진=미디어펜


앞서 '농어촌파괴형 풍력과 태양광 반대 전남연대회의'도 같은 장소에서 문재인 정부의 풍력·태양광사업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토론회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탄소·유리섬유로 제작된 풍력발전 블레이드의 특성상 재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소시 먼지와 독성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으로,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블레이드를 땅에 매립한 것이 현지 언론에 보도되면서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차후 발생할 폐태양광 역시 현재 조성 중인 시설로는 처리가 힘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전남 지역에서 남는 전기를 제주도로 보내는 과정에서 '개점휴업'하는 풍력발전 설비들이 많은 상황에서 변동성이 높은 재생에너지설비를 대량으로 추가하는 것이 현실적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