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조사 결과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고용율 OECD 하위권
노동시장 유연화, 경제활동 지원 확대 등 여성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에서 30~40대 여성 인력 활용 방안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노동시장 유연화와 경제활동 지원 확대 등 여성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OECD 여성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주과 고용률은 각각 60.0%,  57.8%다. OECD 37개 국가 중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3위, 고용율은 31위로 모두 하위권이다.

   

한국의 여성 고용률 그래프는 20대까지 증가하다가 30대 들어 크게 감소한 후 40대 후반에 회복했다가 50대 이후 감소하는 M자형 곡선으로 나타났다. 이는 G5의 여성 고용률이 20~40대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50대 들어 감소하며 포물선을 그리는 것과 차이가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25~29세 71.1%로 가장 높았다. 이후 △30~34세 64.6%, △35~39세 59.9%까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G5 간 여성고용률 격차는 25~29세 5.9%포인트에서 △30~34세 11.0%포인트, △35~39세 16.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경연은 “2019년 한국의 30대 여성고용률이 25~29세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31만8000명의 고용손실을 막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은 G5 국가들보다 한국에서 취업이 더 어려운 상황이다. 2019년 기준 한국의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고용률은 57.0%로, G5평균(72.2%)보다 15.2%포인트 낮았고, 여성고용률이 가장 낮은 미국(70.0%)과 비교해도 13.0%포인트 낮다. 이 같은 여성의 경력 단절은 인재 활용의 다양성 측면에서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여성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65.0%가 육아·가사 부담을 꼽았다. 한경연은 “우리나라는 육아·가사 부담 때문에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방출되는 경력단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G5 국가들의 여성 일자리 환경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 △여성 경제활동 지원 2가지 측면에서 G5보다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 근로자들이 가전제품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조립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G5국가들은 시간제 고용이 활발하고 선택적 근로시간제 정산기간을 확대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로환경을 조성했다. 2019년 기준으로 G5의 전체 근로자 대비 여성 시간제 고용 비중은 평균 14.9%로, 한국(8.9%)의 1.7배에 달했다.

근로시간 조정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정산기간의 경우 3개월의 제한을 둔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G5국가들은 기간 제한 없이 노사합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R&D(최대 3개월)를 제외한 모든 직무에서 1개월의 기간 제한을 두고 있다.

한국의 여성경제활동지수는 OECD 33개국 중 32위로 최하위권이다. GDP 대비 모성보호 관련 공공지출 비중을 보면, 한국은 0.4%로 G5평균(1.5%)의 3분의 1 수준이고,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2.5%로, G5평균(17.0%)의 약 2배에 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G5국가들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서는 보육시설 확충, 육아휴직 활성화 등의 지원과 함께 시간제 근로 활성화와 같은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