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보급 등 양산체계 구축 등 전주기 지원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우리나라 정부가 'K-방역' 수출 확대를 위해 팔을 걷었다.

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 19층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개최하고, 'K-방역' 브랜드와 방역물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해외 방역시장진출 확대를 위한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을 통해 K-방역 인지도를 바탕으로 한 진단키트, 마스크 등 수출 성공사례를 새로운 방역물품으로 확산시키는 노력이 한층 강화되며, 시장성, 기술력 등을 고려한 10대 핵심 방역물품 선정 및 중점 지원으로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인증, 마케팅, 수출금융 등 범부처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로고./사진=산업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방역물품 시장의 급성장으로 마스크, 진단키트 등 한국 방역물품 수출실적이 대폭 확대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무역수지가 지난해 최초로 흑자로 전환됐다.

정부는 그간 방역 현장수요를 고려한 핵심방역장비 기술개발,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로드맵 수립, 온라인 전시회, 해외시장정보 제공 등 판로개척 등을 추진해왔으나, 진단키트‧마스크 등 특정 품목에 수출 성과가 집중됐으며, 정부 역할이 큰 산업특성에 대한 고려는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는 자가 분석을 내놨다.

이에 정부는 이번 대책 마련으로 새로운 유망품목을 적극 발굴・지원하고, K-방역 전용 수출지원, 범부처 전주기 기업지원체계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현 수출규모가 크나 제품 간 기술력 격차가 작아, 타국과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마스크, 진단키트 등 품목은 인프라 및 에너지 분야 대형 프로젝트 등과 연계한 신흥 유망시장 수요를 집중 발굴키로 했다.

이와 함께 미국, 유럽연합(EU) 등 기 진출 시장은 K-방역 브랜드를 활용한 차별화 마케팅 전략 수립으로, 한국 기업의 시장점유율을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내수시장 위주로 현 수출규모는 크지 않으나 기술력, 생산경쟁력을 보유한 최소잔여형(LDS, Low Dead Space)주사기, 워크스루 등 품목은, 국가별 인허가 취득을 위한 시험인증기관의 기술평가, 시험규격 컨설팅, 평가부서 연계 등을 밀착 지원, 스마트공장 보급 등 양산체계 구축으로 글로벌 수요 대응역량을 확보하는 한편, 해외무역관 등을 활용한 초기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미래 수출은 유망하나 개발, 실증이 진행 중인 혁신형 진단키트, 인공지능(AI) 영상진단기기 등 품목은, 제품화 소요기간 단축을 위해 국내외 지재권 확보, 국내 인허가 취득, 양산체계 구축 등 전주기 지원을 강화하고 방역본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 시범구매로 국내 기업의 트랙레코드 확보 및 제품신뢰성 제고를 지원한다.

특히, 기존 수출지원 사업 내 K-방역 트랙 마련, 전용 수출지원 사업 추진을 통해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을 강화한다. 

정부는 수출바우처 사업에 K-방역 전용 트랙을 만들고, 신시장진출자금 내 K-방역 전용 예산 100억 원을 운영하며, 한국수출입은행 등 정책 금융기관에서 방역 뉴딜기업에 대출금리(최대 1.0%)와 대출한도(최대 10%)를 우대한다.  

이와 더불어, 국내 주요 시험인증기관 내 K-방역 전용창구를 개설해 기업별 상황에 맞는 해외인증 대응을 지원하고, 품목・국가별 방역물품 인허가 정보 제공 및 전략 가이드라인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코로나19 장기화와 각국의 핵심 방역물품 비축 조치 등으로 글로벌 방역물품 시장의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며 “이번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 마련으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 방역물품 시장을 선도해나갈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