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업 제품 12조 규모 우선 공공구매 추진"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년간 100대 핵심서비스 표준 개발을 추진하겠다"며 "창업기업 제품 12조원 규모의 우선 공공구매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29일 서울 여의도 한국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제3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개최, 이 같은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표준화 추진전략' 방향을 밝혔다.

그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을 위해, 선진국에 비해 뒤진 서비스산업을 획기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며 "서비스업 표준 개발은 최근 20년간 150여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올해 서비스분야 국제표준에 대한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진행,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표준 확산을 촉진할 방침이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기재부 제공


100대 핵심서비스 표준 개발은 유통, 보건·의료 등 유망서비스, 교육, '웰니스' 등 생활서비스, 공공안전, 기후변화 등 사회안전서비스 등 3대 분야가 중심이다.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 운영절차 표준 등이 그 예이며, 서비스 표준의 현장 실증을 위해 '서비스표준 리빙랩(실험실)'을 구축하고, 물류스마트워크 등 20대 유망서비스 대상 한국산업표준(KS) 인증 도입도 추진한다.

또 서비스 표준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 학생 대상 기초인력(현장인력) 양성 프로그램, 대학원과정 시험인증서비스 분야 특화 교육커리큘럼(전문인력)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10여 년 이상 국회에 계류 중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의 통과를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창업 기업 제품을 대상으로, 약 12조원 규모의 우선 공공구매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 공공구매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이같이 피력했다.

이어 "최근 정부는 공공조달 시장을 활용해 초기 판로 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을 지원 중이지만, 공공조달의 특정 기업 '쏠림' 현상이나 중견·대기업으로의 성장 사례 부족, 신산업·신기술 제품 지원 미흡 등 한계점도 노출됐다"고, 제도 개선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과점 품목은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 지정에서 제외하고, 창업 기업 대상 공공구매를 확대하는 등,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부문 총구매액 145조 8000억원 중 약 80%(116조 3000억원)가 중소기업 제품이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