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급여에 민·정이 주거·복지 제공하면 더 좋은 일자리 창출”
1호 상생형 ‘광주형 일자리’ 광주글로벌모터스 준공 현장 방문
23년만의 국내 완성차 공장 준공, 제조업 회복·기업 유턴 기대
미래자동차시장 전환 생산체제 구축…9월 최초 경형 SUV 출시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29일 “대한민국 제1호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경제의 새로운 균형을 찾기 위한 도전”이라면서 “사람과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며 노사협력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경제를 만드는 시도”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광주 빛그린산단 내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제1호 상생형 지역일자리, 광주글로벌모터스 준공기념행사에 방문해 청년근로자 등 직원들과 광주지역 노·사·민·정 대표 등 광주형 일자리에 기여한 관계자들을 격려하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GGM 광주글로벌 모터스 공장은 지역에 절실히 필요한 광주형 일자리를 구현할 완성차 공장이다. 이미 시험생산과 품질 검증을 시작했고, 9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 문재인 대통령./사진=청와대
이어 “쉽지 않은 여정 끝에 마침내 첫 목적지에 도착했다. 상생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사·민·정이 최선을 다해주신 결과”라며 “현대차와 광주시가 함께 투자해 협력했다. 노동자들은 사측과 상생협의회를 구성해 생산성을 높일 방안을 함께 고민했다. 어려운 문제와 고비를 만날 때마다 이용섭 시장님과 광주시가 적극 중재에 나섰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광주글로벌모터스공장은 우리나라에 무려 23년만에 새로 들어선 완성차 공장”이라면서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힙을 합하면 해외로 향하던 기업의 발길을 되돌리고 얼마든지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현재까지 채용된 385명의 직원 중 70% 이상이 광주와 전남의 2030 청년들이다. 내년에는 직원 수가 900명을 넘어서게 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행사 마무리 발언에서 “지금까지 좋은 일자리를 회사 급여로 결정된다고 인식해왔지만 급여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거, 교통, 복지, 문화 서비스를 높은 수준으로 제공해준다면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이용섭 광주시장이 ‘사회적 임금’을 발언한 것을 언급하며 “회사로부터 받는 급여 조건은 노사 간에 결정하는 것이지만 사회적 임금은 노·사·민·정의 민·정이 결정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협력해서 사회적 임금을 높여준다면 지역에서 얼마든지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광주에서 좋은 모범을 보여주셨기 때문에 이런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 광주형 일자리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광주시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며 참석자들이 지적한 주거·교통 문제, 복지·문화 시설을 언급하며 “수도권 못지않은 수준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글로벌모터스에 따르면, 공장의 차체설비와 조립설비를 100% 국산화해 장비 경쟁력을 확보했고, 인공지능(AI)에 의한 스마트공장 운영관리 및 공정 최적화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9월 중 국내 최초로 경형 SUV를 출시하고 연 7만대 규모로 양산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다양한 차종의 생산 전환이 가능한 유연한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미래자동차시장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향후 증량 필요 시 공장 증설이 가능한 공간 확장성도 확보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이번 행사 참석은 2019년 1월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 참석 이후 2년 3개월여만에 광주형 일자리 현장을 재방문해 광주에서 첫걸음을 내딛었던 지역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의 성공과 확산에 대한 문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함께 잘사는 포용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문재인정부의 새로운 경제모델로서 광주지역 노·사·민·정이 4년 반 동안의 끈질긴 노력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이끌어내었고, 이후 상생모델의 전국적 확산을 이끈 기폭제 역할을 했다.

2017년 3월 문 대통령 후보가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확산을 공약으로 제시한 이후, 1년 반여의 노력으로 도출한 잠정합의안이 협약의 유효기간 문제로 노측이 불참 선언을 하는 등 여러차례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경사노위의 3차례 원탁회의 등 지속적인 사회적 대화와 타협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2019년 1월 광주시-현대차 투자협약을 타결한 바 있다.

광주형 일자리 타결 이후 밀양, 대구, 구미, 횡성, 군산, 부산, 그리고 지난 2월 신안까지 총 8개의 지역으로 상생협약이 확산됐다. 정부는 8개 지역을 합하면 직접고용 1만2000명(간접포함 시 13만 명)과 51.1조원의 투자를 기대하고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