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조차도 노년·질환자 중심으로 거부 사례…AZ접종 노쇼 '속출'
안전성 논란 현재 진행중…피해 보상 '인과관계 운운' 언제까지?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 사태를 바꿀 게임체인저인 백신의 공급을 놓고 연일 '불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애초부터 백신이 감염증 예방에 효과가 없을 뿐더러 기저질환에 대한 부작용을 유발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는 안전성 논란이 주된 이슈다.

안전성을 불신할 수밖에 없는 여러 사고가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안전성이 가장 높다는 화이자 백신 조차도 노년층을 중심으로 거부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서울시 송파구에 거주하는 화이자 백신 대상자 김 모(75) 씨는 1일 본보 취재에 "나같이 나이가 되어서 화이자 맞을 수 있는 사람 조차도 불안해하는게 당연한 심정"이라며 "주변에서 사람들이 가장 불안해 하는건 백신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고, 백신 접종시기 또한 그러하다. 자기 목숨이 달린 문제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백신을 접종 받아 그 이후에 벌어지는 모든 몸 상태와 관련해 부작용이 예측 가능한게 아니지 않느냐"며 "문재인 정부는 모든 걸 책임져 준다고 말은 하지만 정작 실무자, 공무원들 선에서는 백신과의 인과관계 운운하면서 무책임한 행태를 보인다. 정부가 책임져 줄 것도 아니면서 국민이 선택 가능하도록 자율성을 보장해줘야 하는게 기본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우선 현재 가장 큰 불신을 사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해 "대통령, 총리, 보건복지부 장관, 질병관리청장, 방역 대응인력도 접종을 맞았다"며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4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윤태호 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내 허가 백신은 과학적으로 이미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 백신"이라며 "영국에서는 '옥스퍼드 백신'이라고 불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자 65%, 2000만명이 접종 받았다"고 설명했다.

   
▲ 2021년 3월 9일 코로나 중앙예방접종센터는 백신의 원활한 접종을 위해 발생 가능한 문제 상황을 확인·점검하기 위한 합동 모의훈련을 가졌다. 사진은 모의훈련 모습이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백신 안전성에 대한 불신은 여러가지로 나뉜다.

우선 가장 많이 접종된 AZ 백신에서 희귀 혈전증 부작용이 인정됐다는 점이다. 지난 4월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Z 백신 주의사항에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특이한 혈전증' 정보를 추가했다.

얀센 백신 또한 마찬가지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3월 22일 "EMA의 얀센 백신 '혈소판 감소증 동반 희귀 혈전증' 관련 안전성 평가 결과, 이 증상을 매우 희귀한 부작용으로 분류하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도입 추진 중인 노바백스 백신의 경우, 사용국가가 아직 없다. 자칫 우리나라가 첫 실제 접종 사례가 될 수도 있다. 노바백스는 현재 영국에서 임상 3상을 마치고 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의 긴급사용승인은 6월 내로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적으로 백신을 맞더라도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력이 저하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경기도 수원에서 직접 일선 병원을 운영하는 이 모 원장은 본보 취재에 "AZ 1차 접종을 맞고 심하게 통증을 앓아본 직원들 사이에서는 2차 접종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려가 커진게 사실"이라며 "화이자나 모더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이 나라가 후진국 수준으로 백신 도입에 문제가 생기고 부작용에 대한 불신이 심어진게 누구 때문이냐고 보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그토록 K-방역이라며 자화자찬하더니 정작 백신 접종이 시작되자 국민들 사이에서 일어나는건 백신 안전성 자체에 대한 반감과 불안감"이라며 "관련 사고 처리 과정에서 정부가 보인 무책임한 실태가 더 불신을 조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청와대에 앉아 있는 대통령이라는 작자는 일선 현장에 강력히 지시 내린다고 하지만 그게 실제로 먹히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백신 접종을 사람들이 왜 기피하고 있는지, 사망까지 이를 정도로 부작용에 따른 실제 사례가 속출하는데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결과적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것인데 그 핵심을 정부가 확실히 책임져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7일 0시를 기준으로 접종 대상자인 경찰관 및 소방관 등 사회필수인력의 접종 동의 예약률은 65.4%에 그쳤다.

보건의료인의 경우 56.1%이고 만성신질환자는 훨씬 더 낮은 37.7%에 불과했다.

당초 정부는 백신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안전성을 강조하면서 부작용이 생기더라도 전적으로 책임지고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40대 간호조무사 A씨가 AZ 접종 후 사지마비 등 이상증상을 보였으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정부에서 치료비와 간병비 지원을 거부하고 있다는 사실이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통해 알려지면서, '백신 불신' 논란을 더 키웠다.

해당 병명인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에 대해서는 향후 6개월 내지 1년 정도 치료와 재활을 병행해야 하는데, 일주일에 400만원씩 들어간다.

A씨 남편은 이에 대해 "해외 사례는 있지만 인과성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정부 입장에 억장이 무너졌다"며 "보건소, 질병청에 문의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치료가 모두 끝난 후 치료비와 간병비를 일괄 청구하라는 답이었다. 심사기간은 120일 걸린다"고 울분을 토했다.

'백신 불신'을 자초한 정부의 무책임한 실태가 언제쯤 개선될지 주목된다.

국민 생명은 임상실험해도 될만한 싸구려 목숨이 아니다. 부작용 피해에 대한 확실한 보상을 보장해 불안감을 잠재우고, 접종을 확대해도 부족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