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금리인상 가능성 높지 않을 것"
[미디어펜=백지현 기자]미국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공포가 국내로 번지고 있다. 

최근 국내 소비자물가가 물가안정목표치(2%)를 상회하는 등 불안한 조짐을 보이면서 기준금리 인상 압박도 커지고 있다. 

우리도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일시적 물가상승 가능성을 일정하면서도 금리를 올리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 사진=미디어펜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물가가 지난달 4.2% 오르며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하면서, 국내에서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같은 기간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전보다 2.3% 상승하며, 2017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 한은의 금리 인상 압박도 가중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지적들이 제기되나, 섣불리 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서다.

금융권에 따르면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는 11조 8000억원으로 늘어난다. 

금융권의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며 시장금리가 오를 가능성은 있지만, 섣불리 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부채에 대한 이자 부담이 심화될 수 밖에 없어, 부실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물가상승은 일시적인 요인으로 금리인상은 이르다는 판단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13일 최근 미국과 우리나라가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과 관련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4월 미국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공급부족과 이연 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금융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된 국내 금융시장의 특성상 우리 금융시장이 일부 영향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와 견고한 대외신인도를 감안하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최근 발표한 '상반기 경제 전망'을 통해 지금의 완화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조덕상 KDI 전망총괄은 "경기 회복세가 견실하지 못하고 물가 상승률의 추세적 흐름이 장기간 물가안정목표를 하회한 바, 현시점에서 통화정책의 기조를 조정할 필요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