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모더나 위탁생산 계약 체결…“국내 신속 공급 전망”
모더나와 연구개발 MOU 및 노바백스와 개발‧생산 MOU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 행사에 참석해 “이제 미국과 한국은 글로벌 백신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기지를 확보하게 됐다. 세계 백신 무기고이자 글로벌 백신 리더로서 미국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방미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백신기업 협력 행사에 참석해 기업인들을 격려하고, “글로벌 백신 공급의 허브로서 인류에 기여하기 위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하비에르 베세라 미 보건복지부 장관,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대표이사, 최태원 SK 회장,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등이 참석했다. 

   
▲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와 인사하고 있다. 2021.5.23./사진=청와대

이번 행사는 그동안 한국정부 및 기업과 미국 백신기업 간 진행된 연구개발 및 백신 생산 강화 방안에 대한 논의 결과를 토대로 상호 계약과 양해각서를 최종 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가지고 있는 한국은 뛰어난 제조기술과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이미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 등 다수의 백신을 위탁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다”면서 “오늘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는다. 매우 기쁘고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모더나는 mRNA에 기반한 신약과 백신 개발의 최고 기업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적인 백신 생산 능력을 갖춘 기업이다. 두 기업의 협력은 전 세계적인 백신 공급 부족을 해소하고, 인류의 일상 회복을 앞당겨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한국이 백신의 위탁생산뿐 아니라 백신 개발 역량 확보, 해외 백신 및 원부자재 기업 국내 유치 등을 포괄하는 ‘글로벌 백신 허브’가 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임을 밝히며, 글로벌 백신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연구개발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2021.5.22./사진=청와대

   
▲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생산 투자 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1.5.23./사진=청와대
문 대통령의 모두발언에 이어 이날 행사에 참석한 기업간 또는 정부기관과 기업 간 위탁생산 계약 체결 및 연구개발·생산에 대한 협력의향서(MOU) 체결이 이뤄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외에서 생산된 모더나 백신 원액을 국내에서 완제 충전해 생산할 계획이다.

청와대는 “이번 계약은 모더나 백신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국내 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미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 백신에 더해 모더나 백신의 국내 생산도 이루어지면서, 한국이 글로벌 백산 생산 허브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모더나 간에 모더나의 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 협력을 위한 MOU도 체결됐다. 모더나는 한국에 mRNA 백신 생산시설 투자와 인력 채용을 노력하며, 한국정부는 모더나의 한국 내 투자 지원과 비즈니스 활동에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 문승욱 산자부 장관,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장관, 문 대통령, 권덕철 복지부 장관,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2021.5.23./사진=청와대
아울러 한국 국립보건연구원과 모더나 간에 감염병 질환에 대한 연구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MOU도 체결됐다. mRNA 백신 플랫폼은 높은 효능과 신속한 백신개발 가능성 등으로 최근 차세대 백신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높은 기술 난이도 등으로 한국은 아직 관련 기술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MOU로 모더나의 뛰어난 mRNA 기술과 한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협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구축된 것이다. 향후 mRNA 백신 개발, 신종 감염병 대응 방안 등 상호 관심 분야의 활발한 연구가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간에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백신의 개발 및 생산에 대한 MOU도 체결됐다. 이번 MOU를 통해 노바백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백신, 독감 결합백신 등 차세대 백신의 개발과 SK바이오사이언스 시설을 활용한 생산 등을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정부도 기업의 기술 및 생산 협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