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사과에 '강성 친문' 극렬 반발…조국 "날 밟고 전진하라"
당 일각에서는 "사과해도 조국 프레임 벗기 힘들어" 비관론도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일가의 '불공정 내로남불(나는 로맨스 남은 불륜이라는 이중잣대 의미의 신조어)' 사태와 관련해 악화된 민심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당장 내년 대선이 9개월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민주당은 조만간 경선 체제에 들어가 대선 후보를 내야 하는 시점이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2일 유튜브 등으로 생중계된 국민소통 민심경청 프로젝트 대국민 보고에서 '조국 사태'와 관련해 "국민과 청년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점을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앞서 민주당은 2019년 10월 당시 이해찬 당대표가 이에 대해 사과한 후 이듬해 총선 대승으로 조국 사태를 벗어난 것으로 보였다.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월 2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소통·민심경청 프로젝트 대국민 보고에 앞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민주당 제공
하지만 지난 4·7 재보궐선거에서 2030세대가 대거 야당으로 쏠리면서 재차 사회 부조리, 불공정 논란이 일어난 것에 따른 여파로 송 대표가 재차 사과한 것이다.

친문재인계 의원과 강성 지지자들은 당장 들고 일어났다. 당원 게시판에는 송 대표를 비난하는 글이 쇄도했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송 대표를 탄핵하자'는 글이 올라올 정도다. 당원 게시판 일각에서는 송 대표에 대한 '문자 테러' 인증샷도 이어졌다.

당내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 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는 각각 "당 대표가 입장냈으니 당원으로서 존중하겠다", "당 지도부의 고민과 충정을 이해한다"면서 결다른 반응을 보였다.

최근 '조국의 시간' 회고록을 내며 논란에 불을 지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민주당은 저를 밟고 전진하라"며 "송 대표의 사과를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번 사과에도 불구하고 강성 친문의 극렬 반발과 현역 의원들의 잇다른 비판이 이어지면서, 조국 사태를 극복했다는 이번 공언이 정치적 수사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중도층과 2030세대 등 내년 대선을 좌우할 국민 일부에 진정성을 보였는지도 관건이다. '조국의 시간'이 공식 출간 하루 만에 판매량이 10만 부를 돌파하면서, 조국 전 장관이 이번 출간을 계기로 오히려 경제적인 이득을 남겼다는 분석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3일 본보 취재에 "불법 여부를 떠나 이미 조국 사태는 온 국민에게 각인된 사건"이라며 "당 일각에서는 이번 사과에도 일명 조국 프레임을 벗기 힘들 것이라는 비관론이 여전하다"고 전했다.

그는 "핵심은 조국 사태가 수많은 청년에게 좌절과 실망을 주었다는 것"이라며 "이는 점차 축소된게 아니라 확대일로에 있어왔다. 이후 불공정 이슈가 연달아 터지고 내로남불이 민주당 코드로 인식되면서 당내 온도와 외부 객관적인 평가에 괴리가 있는 건 맞다"고 인정했다.

다만 그는 "청년들 사이에서 아직도 민주당 지지하냐고 묻는게 비아냥,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는게 지난번 송 대표의 청년간담회에서 밝혀진 사실"이라며 "윤석열 신드롬을 자초한게 민주당이고, 지금이 (민심의) 바닥이라고 본다. 이제 당이 하기에 따라 얼마나 치고 올라가느냐가 좌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다른 당 관계자는 이날 본보 취재에 "조국은 과거 이슈이지만 여전히 이번 정권 내내 정쟁 이슈로 먹히기도 한다"며 "확전을 경계하고 야당의 주요 공격지점이 될 조국 문제를 일단락했다는데 이번 송 대표 사과에 의의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초재선 의원들 일각에서는 대표 차원에서 더 분명한 사과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며 "당 전체와 내년 대선을 감안하면 진정성을 확실히 전한 기자회견이라는 평가도 있다"고 밝혔다.

조국 사태로부터 벗어나려는 민주당의 선택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 송 대표는 이번 사과를 기점으로 당 쇄신과 정책 전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대선을 치러야 할 송 대표 입장에서 최선을 다해 내놓은 이번 사과가 좌우 양 극단을 떠나 중도층에게 어떻게 다가갈지 관심이 쏠린다.

향후 여론 추이에 따라 재차 더 강한 사과가 필요할지, '청년 불공정' 문제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들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