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또는 11월에 금리 인상 가능성 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연내 금리인상론에 힘이실리고 있는 가운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이전보다 분명한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을 내놓으면서 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질지 주목된다.

   
▲ 이주열 총재./사진=한국은행 제공.


이 총재는 11일 한국은행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하반기 이후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먼저 “완화적 통화정책의 질서 있는 정상화”를 꼽았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 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며 “코로나19 전개 상황, 경기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시기와 속도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그동안 코로나19 상황에서 취해온 확장적 위기대응 정책들을 금융‧경제 상황 개선에 맞춰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것은 우리 경제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도 했다.

이 총재가 공식 석상에서 연내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7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금리 인상 여부는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극도로 조심스러운 태도로 일관했던 이 총리가 연내 금리 인상을 못 박은 것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 중이 ‘가계부채’가 자리하고 있다. 부문간‧계층간 금융 불균형이 확대된 상황에서 자산시장으로 쏠린 자금이 생산적인 부문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고 가계빚을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실제 코로나19 사태 등을 거치며 가계부채는 지난 1년간 154조원이나 급증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66조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이는 전기 대비 34조6000억원 증가한 규모로 이 같은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20조4000억원)과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14조2000억원)이 견인했다. 특히 기타대출은 코로나19에 따른 생계자금 외에 부동산‧주식‧가상자산에 투자하기 위한 자금으로 활용됐다는 분석이다.

이 총재가 “최근에는 부동산, 주식뿐 아니라 암호자산으로까지 차입을 통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 누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라며 “시장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면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취하겠다”고 강조한 대목은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담이 불가피하지만 실기하면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맥락으로 봐야 한다.

올해 하반기에 예정된 한은의 금통위는 7월 15일, 8월 26일, 10월 12일, 11월 25일로 연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는 횟수는 총 4차례를 남기고 있다. 금융권에선 코로나19 전개 상황과 경기회복 지속성을 지켜봐야 하는 만큼 10월 또는 11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이주열 총재의 금리 인상 신호가 분명한 만큼 연내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다만 경기가 회복되고 있으나 지속 여부와 코로나19 접종에 따른 완화 여부를 지켜봐야 하는 만큼 하반기 10월 또는 11월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