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18국 경제단체·국제기구 대상 '코로나 2년차 세계 전망' 조사
코로나 국지적 발발 반복으로 장단기 경제회복 지연 가능성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글로벌 민간 경제계가 올해 반복적인 코로나19의 국지적 발발로 경제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코로나 이후 '기업들의 도산'과 '금융과 실물의 괴리' 등을 위협요소로 지목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전 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5~6월에 걸쳐 '세계경제 결정적 순간: 코로나 2년차 전망' 조사를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국가들은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GDP의 52%를 차지하는 주요 18개국과 EU와 OECD 등 경제권을 대표하는 국제기구 3개다. 

   
▲ 방역요원들이 코로나19 전파 방지를 위해 방역 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민간 경제계는 올해 세계경제를 국제기구의 예측에 비해 훨씬 비관적으로 예상했다.

세계경제의 코로나 회복 양상과 관련해 대다수(84.1%)가 코로나의 반복적인 국지적 재발이 올해 세계경제를 특징지을 것으로 내다봤다. 절반 가량(47.4%)이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회복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로나19 타격 이후 세계화와 다자주의가 손상을 입은 가운데 세계경제단체들은 앞으로 자국중심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게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응답 국가의 47.7%(약한 자국중심주의 38.2% 및 강한 자국중심주의 9.5%)가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계속해서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다. 9.5%는 코로나19로 훼손된 지난해·올해 수준의 현상 유지, 42.8%(약한 다자주의 33.3% 및 강한 다자주의 9.5%)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미중갈등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질서와 관련해 절대다수인 90.5%(디커플링 심화 42.9% 및 첨단 산업 미국, 공급사슬 중국 양분 47.6%)가 미중 경제대립 첨예화를 예상했다.

코로나 강타 이후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57.1%로 과반을 넘었고,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세계 주요국 경제계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 기업 지원책이 실제로 도움이 됐다(71.4%-매우 도움 됨 38.1%, 다소 도움 됨 33.3%)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재정정책 운용 방향을 올해까지는 긴축재정으로의 전환(25.0%)보다는 확정재정 기조를 지속(75.0%)시켜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세계경제단체들은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실업, 금융불안정, 빈곤 심화보다 기업의 생존 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8.2%가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 온 기업들의 도산’을 1순위로 꼽았다. ‘막대한 유동성 공급 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와 부작용(17.7%)’, ‘고용지원 제도 종료 이후 실업 전면화(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으로, 올해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은 아직 조심스럽다”며 “특히 코로나 정부지원 종료 후 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는 점을 보면 실물경제 현장은 예상보다 심각할 수 있다. 기업 생존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