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미경 기자] 반도체 D램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마침내 70%를 넘어섰다.

반도체 전자상거래사이트 D램익스체인지는 글로벌 D램 시장 1, 2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2014년 4분기 점유율 합계는 70.4%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 D램 익스체인지 제공

종전 최고치는 작년 3분기(69.7%)였다. 그전에는 2012년 4분기(69.6%)가 두 번째로 높았다. 점유율 합계가 7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4분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41.4%, SK하이닉스는 27.7%다. 두 회사의 산술 점유율 합계는 69.1%로 70%에 못 미치지만 과점체제인 D램 시장에서 지역 점유율을 따질 때는 한국·미국·대만 이외 다른 지역 업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70.4%로 상향 반영됐다.

삼성전자는 작년 3분기(41.7%)에 비해 점유율이 0.3%포인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1위를 지켰다. SK하이닉스는 3분기(26.5%)보다 1.2%포인트나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3위는 미국의 마이크론(24.0%)이다.

4∼5위는 대만 기업인 난야(3.1%), 윈본드(1.3%)로 1∼3위 그룹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D램익스체인지는 지난해 4분기에 삼성전자가 반도체 미세공정에서 20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와 23나노미터로 크게 앞서가면서 47%의 영업이익률을 올리는 고공행진을 벌였다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도 전체적인 수율(불량 없는 제품 양산율)과 25나노미터 공정 전환율에서 큰 진전을 보이면서 42%의 영업이익률을 끌어올렸다. SK하이닉스는 특히 분기 매출 증가율 13%를 나타내며 가장 크게 매출이 증가했다.

마이크론도 모바일과 서버용 D램 라인 증강, 20나노미터대 제품 생산 개시 등으로 9%의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하지만 SK하이닉스의 상승세에는 밀렸다.

지난해 4분기 전체 D램 산업은 메모리 계약 가격의 견조한 흐름 속에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올해도 13%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