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평, 은행업 Peer 리포트서 영업전략 및 리스크 등 분석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국내 주요 은행들이 코로나19에도 불구 올 상반기 역대급 경영실적을 거뒀다. 하지만 이러한 호실적을 경계하는 한편, 선제적인 대손충당금 적립 등 부실흡수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은행들이 저금리 환경과 디지털금융에 대응할 영업전략을 세워 경쟁 상대와의 차별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올해 은행업에 대해 "코로나19에도 우수한 경영실적을 유지했다"면서도 "충분한 부실흡수능력 확보 여부와 디지털금융 대응 과정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은행업 피어 리포트(peer report)'를 통해 밝혔다. 

   
▲ 시중은행 대출창구 / 사진=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으로 원금만기 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을 펼치면서 많은 유동성이 은행들의 영업실적에 반영된 건 긍정적인 요소지만, 향후 금융당국이 유동성을 회수하게 되면 잠재적 부실의 민낯이 드러나게 될 거라는 지적이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을 2차례 연장한 상태다. 가령 은행 관련 자산건전성·자본적정성·유동성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한 게 대표적이다. 

문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다. 한신평은 코로나19가 잠잠해져 정부가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을 끝내게 되면, 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가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특히 회계기준에 따른 신용건전성 분류와 단순기본자본비율은 올들어 저하되고 있다. 감독지표에 드러나지 않는 잠재부실이 상존하는 만큼, 충분한 부실흡수능력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금융당국에서도 코로나19 대응 한시조치에 대해 "질서있는 정상화 방안을 추진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고, 한국은행에서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만큼 유동성 축소에 따른 잠재부실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한신평은 은행들이 저금리에 대응하는 각자만의 전략도 빨리 갖춰야 한다고 제기했다. 저금리·저성장 등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에도 대부분의 은행들은 기존 담보대출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은행지주사의 경우, 은행에서 보수적인 영업전략을 취한 한편, 증권과 캐피탈부문에서 위험자산을 집중해 실적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일부 지방은행은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리스크 부담이 있는 신용대출에 치중한 탓에 재무건전성 관리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인터넷은행의 부상이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뱅크는 단기간에 4대 시중은행에 이어 5번째로 많은 가계 신용대출 규모를 확보했다. 그 여파로 가계신용대출 점유율이 약 4%포인트(p) 하락한 은행도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향후 인터넷은행이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하는 등 풀뱅킹 서비스를 갖추게 되면 단순 기존 담보대출 위주의 보수적 대출전략은 먹혀들지 않을 거라는 시각이다.

디지털금융도 화젯거리다. 한신평은 4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간 디지털금융에 대한 추구방식이 갈려 아직은 명확한 답이 없는 상태라고 평가했다. 자본이 우수한 4대 은행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에 배달서비스 등 생활편의 서비스를 부가해 자체 플랫폼을 강화하는 한편, 인터넷은행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반대로 지방은행은 거점지역 의존도가 높고 자본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보다 빅테크·핀테크와의 제휴를 늘리고 있다. 

한신평은 "기존 은행의 디지털금융 대응 중요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전환이 늦어질 경우 고객과의 접점이 줄어들어 가계대출과 자산관리 등 리테일 영업기반이 축소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