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은 부채관리하고, 주담대는 금리리스크 회피 상품 활용해야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대출을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부동산과 주식 등으로 큰 부를 일으키는 최근의 자산증식 행태를 경계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인상 시그널을 계속 던지면서 시중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고, 연내 두 차례 금리인상도 기정 사실화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금융위원회 위원장에 '매파' 성향이 짙은 고승범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을 내정해 금리인상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금리가 오르게 되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일으킨 차주들의 상환부담이 커지는 만큼 사전에 '부채 다이어트'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 시중은행 대출창구 / 사진=연합뉴스 제공


9일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리 정상화에 대비한 금융소비자 대응'의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이 실물경기 개선에 부응하고 금융불균형이 누적되는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질서있는 금리 정상화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며 "자산가격 상승 기대로 시장에 진입했던 신규투자자들이 투자위험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펀더멘털이 보장되지 않는 최근의 자산가치 상승이 영원하지 않음을 파악하고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으로 해석된다. 임 위원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의 신규 개인투자자 비중이 2019년 9.3%에서 지난해 32.8%로 급증했다. 특히 신규투자자의 53.5%는 30대 이하로 나타나 위험관리에 나서야 할 때라는 분석이다. 

임 선임연구위원은 신용대출과 주담대 차주들이 이제 위기대응에 눈떠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변동금리 비중이 높고 만기가 짧은 게 특징이다. 은행채 금리를 사용해 시장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금리 상승기에는 주담대 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지난 3월 기준 국내 은행의 신용대출 변동금리 비중은 77.7%로, 6개월 이하와 6개월~1년 등 단기 상품이 각각 40% 대를 기록했다.

반대로 주담대는 코픽스 금리를 기준금리로 사용하는데 예금유치 필요성 등 은행들의 영업전략이 달린 문제인 만큼 금리인상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딜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다만 개인 상황에 따라 최근 은행권에서 출시 중인 금리리스크 회피 상품을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대표적으로 '금리상한형 주담대'는 변동금리에 연 0.15~0.20%p의 가산금리를 부담하는 대신 연간 0.75%p, 5년간 2%p 이내에서 금리상승 폭을 제약할 수 있다. '월상환액 고정형 주담대'는 연 0.2~0.3%p 가산금리를 부담하고 10년간 금리상승 폭을 2%p로 제한해 이자 납부액이 월상환액을 넘지 않도록 설계돼 있다. 

한편 당분간 시장금리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금리가 금리인상 시그널을 선반영한 터라, 한은이 실제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급격한 상승은 없을 거라는 분석이다. 

임 선임연구위원은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혼란을 초래할만한 급격한 시장금리 상승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저금리에 의존해 과도한 레버리지를 도모했던 소비자는 투자위험관리와 이자부담 확대에 따른 부채관리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고 주의를 요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