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회복 서비스 위주, 재화 수출 기반 한국 '낙수효과' 기대 어려워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경제는 추가 성장여력이 아직 많이 남아있지만 한국은 '한계'에 봉착하면서, 한-미 경제의 '디커플링'이 우려된다.

미국은 향후 서비스업 위주의 회복이 전망되는데, 재화 수출 기반의 한국은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은 앞으로도 고용회복 가속화와, 서비스 소비 중심의 경기회복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정부 실업급여 종료는, 미 근로자들의 구직 확대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은 제공


8월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영향을 있겠지만, 미국 고용 개선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소비는 미국 소비의 65%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실업급여를 이용한 재화 소비를 고용확대에 의한 서비스 소비가 대체, 미국 경기 회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재화 소비는 한국의 수출에 큰 도움이 되지만, 서비스 소비는 영향이 적다는 점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기회복의 낙수효과는 수출을 통해 한국에 전달된다"며 "연말까지 미국 소비 회복이 서비스 소비 위주일 것으로 보여, 재화 수출 기반의 한국은 낙수효과를 누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 연구원은 "이미 국내 경기 모멘텀이 꺾인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사이클 진입' 역시 부담"이라며, 기준금리를 이주열 한은 총재 임기 내 연 1%, 내년 연말까지는 1.25%를 점쳤다.

김중원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경기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이는 정부의 재정정책 효과에 따른 내구재 소비의 영향이 크며, 아직 서비스 소비는 본 궤도에 진입하지 않았다"면서, 델타 변이에 따른 코로나19 우려가 완화되며, 미 경기회복 기대감 증가를 기대했다.

반면 한은은 코로나19 충격으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2%로 0.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이주열 총재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단담회에서 "코로나19 충격으로,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 수준까지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재작년, 작년 잠재성장륭을 2.5% 수준을 봤는데, (금년과 내년은) 상당히 낮아진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