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와 네티즌도 불만 표출

KBS이사회의 ‘수신료 인상안’ 의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더불어 비난의 물살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조선일보는 21일자사설을 통해 수신료 인상을 비판하고 나섰다.조선은 “KBS는 지난 19일 이사회를 열어 수신료 2500원을 3500원으로 올리면서 KBS 2TV 광고는 계속하기로 했다”며 “지난해부터 KBS 경영진이 수신료를 6500원으로 올리는 대신 2TV 광고를 없애겠다고 말해 온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결정이다”라고 비난했다.

이어 “KBS가 국민에게 수신료를 더 요구하려면 광고를 어떻게 줄이고 없앨 것인지 구체적인 일정부터 밝혀야 한다. 조직의 군살도 빼야 한다.”라고 말하며 “시청자들은 수신료를 더 내는 만큼 상업 광고는 덜 보고 고품격 프로는 더 즐길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역시 KBS의 수신료 인상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중앙일보는 ‘명분도 염치도 안 보이는 KBS 수신료 인상안’이라는 제목으로 이번 인상안에 대해 비난했다.

중앙일보는 “KBS 이사회가 수신료 인상안을 통과시켰다. 현재 월 2500원에서 3500원으로 1000원 올리는 내용이다”라며 “이렇게 되면 연 2200억원에 달하는 추가 수입을 가만히 앉아서 챙기게 된다고 한다. 경영개선이나 뼈를 깎는 자구노력도 없이 말이다”라고 꼬집었다.

또 “공영방송 KBS의 주인은 그 회사 임직원이 아니다. 통합징수 때문에 꼼짝없이 세금 내듯 수신료를 부담하는 국민이 주인이다”라고 말하며 “KBS가 말로는 ‘국민의 방송’을 외치지만, 공영성은 외면하고 조직 이기주의엔 신경을 곤두세운다는 비판에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 “물론 수신료 인상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다. 앞으로 방송통신위원회 검토에 이어 국회 상임위와 본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라며 “이 과정에서 ‘공영은 공영답게, 민영은 민영답게’란 미디어법 개정 취지도 살리면서 KBS가 국가 기간방송이자 ‘한국의 BBC’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동아일보는 ‘KBS 개혁, 광고 없는 ‘청정방송’이 시청자 요구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시청자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고 자사의 밥그릇만 챙기려는 KBS의 태도에 대해 질타했다.

동아일보는 “KBS 이사회가 전체 수입 가운데 TV 광고수입의 비중을 40%로 유지하면서 수신료를 현재의 2500원에서 3500원으로 인상하기로 의결했다”며 “그동안 KBS는 수신료를 올려주면 광고를 없애 공영성 높은 방송을 할 수 있다는 논리를 폈다. 이번 인상안은 광고는 그대로 두고 시청자들에게서 수신료만 더 받겠다는 발상이다”라고 질타했다.

이어서 “이번 2TV 광고 유지 결정은 KBS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미디어산업의 구조와 기능의 측면에서 봐야 한다. KBS가 광고를 더 많이 따기 위해 상업방송과 시청률 경쟁이나 벌여서는 저질 논란에서 벗어나기 힘들다.”라고 말하며 “KBS가 한국의 방송문화를 대표하는 ‘방송의 청정(淸淨)지대’가 되려면 광고방송을 전면 폐지해 시청률에 얽매이지 않는 고품격 방송을 내보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방송통신위원회는 KBS 이사회의 시청료 3500원 안을 그대로 국회에 제출하지 말고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검토를 거쳐 광고를 단계적으로 완전히 없애는 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라고 이야기 했다.


한겨레도 사설에서 "국민들로선 더더욱 왜 수신료를 인상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전국 대부분 가구는 케이블 등 다른 수단을 통해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고 케이블 회사 등에 시청료를 내고 있다. 난시청 해소를 위한 인상이라면 국민들로선 이중 부담인 셈이 된다."라고 난시청해소를 위해 수신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KBS의 입장에 의문을 표시하며 이번 결정을 전반적으로 반대했다.



경향도 사설에서 "수신료 문제의 본질은 인상폭이 아니며 따라서 인상폭을 낮췄다는 게 생색낼 일일 수도 없다."며 중요한 것은 공영성회복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1000원인상안을 반대하였다.




이 밖에도 많은 여론들이 수신료 인상에 대해 안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거나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주언론 시민연합은 “‘MB정권 나팔수’ KBS, 국민은 수신료 못 올려준다”라는 제목의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기자회견문에는 “KBS이사회에 묻는다. 지금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 수신료 수입이 적은 탓인가 KBS가 공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원인이 권력의 방송장악에 있음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고 비난했으며 “뿐만 아니라 KBS는 지난해 700억 원에 이르는 흑자를 내고 올해도 10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에게 손을 벌릴 아무런 명분이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KBS이사회는 수신료 인상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설마’ 하고 지켜보던 국민의 분노에 불을 지폈다”고 목소릴 높였다.

이번 수신료 인상을 접한 네티즌들의 반응역시 싸늘하기만 하다. 한 네티즌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공영방송이라고 하는 KBS가 수신료 3,500원 인상을 자기들끼리 결정하고 확정했다. MBC나 SBS같은 민영방송도 아닌 KBS가 자기들 맘대로”라며비난의 소릴 냈다.

이 밖에 다른 네티즌 역시 “KBS 항상 흑자 라는데. 수신료는 또 왜 올리징.. 쩝... 짜증나..”, “KBS수신료인상으로 연 2천100억 증가.. 이 재원으로 대작드라마 팍팍 찍어내면 결국 광고판매도 증가.. 아마 그러고나면 "잘팔리는데 어떡하라고" 배쨀게 뻔함” 등의 차가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KBS는 지난 19일 이사회 회의를 통해 수신료 3,500원 인상안과 광고 현행유지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