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차례 이어질 금리인상에도 내수 중심의 경제 회복 무리 없어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경기 성장 지속 가능성에도 물음표가 띄워졌다. 증권가에서는 수 차례 이어질 금리인상에도 내수 중심의 경제 회복에는 무리가 없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경기 성장이 지속될 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일 김예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8월 25일 금리인상이 한 차례 진행된 가운데 내년까지 추가로 두 세 번의 금리인상이 점쳐진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중요한 것은 금리인상 사이클에도 경기가 잠재 수준을 뛰어넘는 성장을 지속할수 있는지 여부”라면서 “내년 수출 경기가 정점을 지나면서 회복의 키가 내수로 넘어가는 만큼 통화정책의 파급 경로 중 가계 이자비용 증가에 따른 소비 위축 경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비용과 동시에 이자부 자산에서 이자수익 또한 늘어나 가계 소비 여력에 마이너스와 플러스 효과가 모두 있다”면서 “한국 가계는 이자수익보다 이자지출이 많은, 즉 이자를 ‘내는’ 주체라는 점에서 해당 논의는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소비 여력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중 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추가 인상되고 내년 50bp 인상할 경우 가계 이자 부담은 2021년 59조4000억원, 2022년 66조원으로 추정된다”면서 “절대적인 이자비용 증가가 가계 소비 여력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 변화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근로, 사업 소득 증가에 힘입어 가계의 처분 가능소득은 2021~2022년 개선될 전망”이라면서 “IMF(국제통화기금) 명목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에 가처분소득/국민총생산 비율 3년 평균치를 적용하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올해 2.2%, 내년 3.6%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5.2%에서 내년 6%로 예상된다는 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즉 내년의 이자부담/처분가능소득은 지난 2017~2018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지난 2018년 대비 내년 가계 이자비용은 약 10% 높아지지만 가계이자비용/처분가능소득은 6.2%에서 6%로 소폭 줄어든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끝으로 “부채 증가와 금리인상 사이클이 맞물려 ‘절대적인’ 이자 규모는 커지겠지만 소득 회복이 뒷받침되면서 향후 ‘실질적인’ 이자 부담은 소비에 부담을 줄 정도는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금리인상 사이클에도 내수 중심의 회복에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