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사, 보안인력비율도 은행보다 5.1배 많아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NHN페이코 등 4개 빅테크사의 매출액 대비 보안투자비율이 은행보다 8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 모습/사진=민형배 의원실


민형배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금융 업권별 매출액 대비 보안투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으로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NHN페이코 등 4개 빅테크 플랫폼의 매출액 대비 보안투자액 비율은 2.41%로 은행 평균인 0.84%보다 8.6배 많았다.

업권별 투자액 비율은 증권사 20개는 0.27%, 카드사 8개는 0.41%로 파악됐다.

빅테크 4사의 투자비율은 다른 업권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NHN페이코는 매출액 276억원 가운데 9억8000만원(3.54%)를 보안에 투자했다. 토스는 매출액 1766억원 중 60억원(3.45%), 카카오페이는 2455억원에서 54억원(2.23%), 네이버파이낸셜은 7043억원에서 30억원(0.44%)을 투자했다.

보안인력비율도 빅테크업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테크 4사의 전체 임직원수 대비 보안인력 비율은 3.53%로 은행(0.68%)보다 5.1배 많았다.

토스는 전체 임직원 429명 중 21명(4.9%), 네이버파이낸셜 14명(4.26%), 카카오페이 16명(2.59%), NHN페이코 6명(2.38%) 순으로 보안인력을 뒀다. 반면 증권사의 보안인력 비중은 0.69%, 카드사는 1.25%에 불과했다.

현재 국내 보안 정책은 사전규제가 강하고 사후처벌은 해외에 비해 낮은 편이다.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보안사고시 매출액 대비 3% 내외의 강한 금전제재를 부과한다. 반면 국내에선 2017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보안사고가 발생한 51개 금융사에 대해서 과태료 2건과 피해보상 621만원을 부과하는 등 조치가 경미하다.

민 의원은 "신생 핀테크, 빅테크 기업들의 보안역량이 부족하지 않은 만큼 망분리 규제 등 과도하고 시대착오적인 사전규제보다 보안정책을 회사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다만 사후처벌과 고객배상액은 높이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