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아파트값 9개월 간 누적 상승률 20%
[미디어펜=유진의 기자] 1인 가구 증가와 아파트값 급등세가 맞물리면서 소형 아파트마저 가격이 치솟고 있다. 서민들의 주거 사다리가 흔들린다는 우려가 나온다. 

   
▲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19일 KB국민은행 월간 주택매매가격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값은 평균 3억3033만원으로 집계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소형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9661만원이었는데, 지난 4년 4개월 사이 68% 뛰었다. 올해 들어 9개월 동안 누적 상승률은 20%에 달한다.

특히 서울은 상승세가 더욱 가파르다. 서울의 소형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8억4599만원을 기록했다. 이번 정부 초기(3억8202만원)와 비교하면 무려 121.5%나 상승한 것이다. 

같은 기간 대형(전용 135㎡ 초과·63.9%), 중대형(전용 102㎡ 초과~135㎡ 이하·95.9%), 중형(85㎡ 초과~102㎡ 이하·67.4%), 중소형(60㎡ 초과~85㎡ 이하·94.6%)의 아파트값 상승률을 모두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집값이 오르면서, 면적이 작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주택을 매입하는 경향은 더욱 두드러진다. 1인 가구가 급증하며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말 기준 1인 가구 수는 전체 가구 수의 40.1%(936만7439가구)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소형주택의 공시가격도 크게 뛰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홍기원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입수한 ‘최근 3년간 60㎡ 이하 소형주택 현황’에 따르면 수도권 소형아파트 평균 공시가격은 2억4727만원으로 2019년 1억8980만원에 비해 2년 새 30.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을 기준으로 하면 24.0%(1억2696만→1억5746만원)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공시가격이 오르면 서민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그만큼 줄어든다고 평가한다. 정부는 전용 60㎡ 이하, 수도권 기준 공시가격 1억3000만원 이하(비수도권 8000만원 이하) 주택을 소형저가주택으로 정하고, 이를 소유한 1주택자가 민영주택을 청약하면 무주택자에 포함된다. 특별공급에 지원할 자격은 없지만, 민영주택 일반공급 신청 시 혜택을 제공 받는다. 이 기준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5년 기존 7000만원에서 6000만원이 늘어난 금액으로 상향 조정됐고 이후 5년째 그대로다.

1인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소형아파트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전문리서치 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37만3014건 중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17만6994건으로, 전체의 47.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 소형 아파트가 39.4% 거래된 것과 비교해 약 8.0%포인트 늘었다. 앞서 2012년 상반기(48.0%) 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1~2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작은 평형대에 관심을 두고 있는 실수요자들이 많다"며 "비교적 2~3년전만 해도 대형 아파트가 인기가 많았는데, 분양시장에서도 소형 평수에 청약경쟁률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수요자들의 니즈를 파악한 공급자도 소형 상품을 내놓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소형아파트값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유진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