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개발시 최대 11억 6000톤 전망... 탄중위 시나리오 가능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우리나라 이산화탄소저장(CCS) 역량 평가를 위해 구성된 합동연구단이, 앞서 탄소중립위원회가 발표한 CCS를 통한 국내 저장 규모인 연간 3000만톤 시나리오(A안)이 이행될 수 있는 저장용량이 나온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는 3일 서울 강남구 소재 코엑스에서 ‘한국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을 위한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 가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다목적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청와대


CCS(Carbon Capture Storage)는 발전 및 산업체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동안 국내 CCS 저장소 위치와 규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었으나, 기관별 평가 기준 및 분석 방법이 달라 저장 규모가 상이해, 정부는 대표성 있는 유망구조·저장 용량 도출을 위해 국내 CCS 저장용량 종합·재평가를 추진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4월 국내 전문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합동 연구단을 구성해 6개월간 자료 분석 및 평가 등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최종 결과를 발표하게 됐다.

이날 합동 연구단장인 권이균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CCS 저장 유망구조 도출을 위한 평가 기준 체계와 저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연구단은 미국 에너지부 기준을 참조해 저장소 규모, 자료 수준, 신뢰도, 평가 목적 등을 고려한 4단계 기술적 평가기준 체계를 마련하고, 이 중 저장 가능성이 확인된 ‘3단계 유망구조규모 평가’를 국내 저장 가능 규모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이산화탄소 저장 가능 규모, 외교적 관계, 경제성·수용성·안전성 등의 사업 추진 조건과 환경을 고려한 한국형 평가 체계를 수립해 추가 적용했다.

상기 기준에 따른 종합 평가 결과, 연구단은 기술성과 사업추진 여건을 고려한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유망 구조는 약 7억 3000만톤 규모로 평가했다.

   
▲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자료=산업부


이어 권 단장은 종합 평가 결과 도출된 7억 3000만톤과 더불어, 추가 탐사·시추 및 기술개발로 최대 11억 6000만톤(연 3870만톤)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결과는 2015년 추정 규모인 6억 톤보다 1억 3000만톤을 상회하는 평가 결과로 연 2400만톤의 이산화탄소 30년 저장 가능 규모이며, 2단계 잠재지층 86억 톤 중 유망구조 수준의 저장소 2억 톤 추가시 9억 3000만톤 저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상 CCS를 통한 국내 저장 규모인 연 3000만톤 이상이 가능하다는 결론이다.

강경성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CCS 기술 조기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협력해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30년까지 최대 1조 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도 CCS 기술 개발 및 저장소 조기 확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