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 축소 규모 예상 수준 부합…시장 불확실성 감소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중 자산 매입 규모 축소(테이퍼링)을 시작하겠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증권가에서는 매입 축소 규모가 예상 수준에 부합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였다고 입을 모은다. 

3일(현지 시간)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는 이날까지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고 정책 성명을 통해 이달 중 채권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기준 금리는 현행의 0~0.25%으로 동결했다.

연준은 우선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매달 국채 1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달러씩 총 150억달러 축소할 방침이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중 자산 매입 규모 축소(테이퍼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픽사베이
연준은 “지난해 12월 이후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룬 점을 반영했다”면서 “현 자산매입과 유사한 속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경제 전망 변화에 따라 매입 속도를 조정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의 속도가 유지되면 자산매입은 오는 2022년 7월께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장의 기존 예상과 달리 연준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일시적이라는 견해를 고수했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확신을 줌으로써 조기 금리 인상 전망을 차단한 셈이다. 

제롬 파월 의장도 테이퍼링 결정 발표 후 열린 기자 회견에서 “오늘 테이퍼링을 시작하기로 한 결정이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직접적 신호는 아니다”라며 “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별도의 한층 엄격한 조건이 만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 잦아들면서 공급망 정체는 풀리고 고용성장은 다시 올라갈 것”이라며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서 인플레이션은 오늘날 높은 수준에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의 이 같은 발언은 앞서 FOMC 성명에서 인플레이션이 올랐지만 일시적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증권가에서는 “연준의 통화 정책 기조가 여전히 완화적”이라면서 “테이퍼링에 따른 미국 국채 등의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다만 기준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을 내놓았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시장 예상대로 11월 테이퍼링을 개시했다”면서 “테이퍼링에 따른 자산 매입 축소(약 1조2000억달러) 보다 재정적자 감소에 따른 국채 발행 축소(약 1조9000억달러)가 더 커 수급 부담이 부재하는 등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 연구원은 이어 “물가 안정을 전제로 연준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작다”며 연준이 내년 12월에 첫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테이퍼링 속도가 시장 예상 수준에 일치했다는 점에서 시장에 안도감을 준 것은 분명하다”면서 “11월 FOMC 회의에서 주목했던 것은 테이퍼링 속도였지만 연준은 의외로 테이퍼링 정책 추진에 있어 유연성을 강조하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인플레이션과 조기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안도감을 줬다는 점에서 다소 매파적이었던 9월 회의와 달리 이번 결과는 중립적 혹은 비둘기적이었다고 총평을 내릴 수 있다”면서 “미 연준이 테이퍼링 종료 직전과 직후인 내년 6∼7월부터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내년 4분기 한 차례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연준의 테이퍼링 시작 결정은 시장 예상에 부합한 결과”라며 “미국의 완화적인 금융 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강 연구원은 또 “연준이 여전히 물가 상승을 ‘일시적’이라고 판단한 데 주목해야 한다”면서 “내년 금리 인상보다는 이르면 2023년 하반기에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