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 대화 토대 마련하는데 최선…북 호응해주길 촉구”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24일 “종전선언을 베이징올림픽을 겨냥해서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베이징올림픽과 불가분의 관계처럼 연결해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출입기자단을 만나 “베이징올림픽이 평화의 올림픽이 되기를 희망하지만 종전선언이 베이징올림픽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연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한미 간 협의와 관련해 이 장관은 “종전선언에 대해서 서로의 이해가 더 깊어졌고, 매우 진진하고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의를 이어왔다”면서 아울러 “북한에 대한 인도적 협력과 관련해서도 보건·의료, 식수, 위생 분야 사업을 구체화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장관은 “지난해보다 올해 더 상대적으로 정세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고, 한반도 상황은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아직 단언하기 어렵지만 한반도에서 고강도의 긴장이 조성될 가능성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남북이 다시 대화와 협력으로 나갈 수 있는 정세를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4일 서울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1.24./사진=연합뉴스

이 장관은 “금년 말부터 내년 초까지 몇 개월의 시간이 한반도의 평화 정세를 향한 ‘기회의 창’이 되도록, 다시 남북의 시간을 만들기 위해서 집중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가 하기에 따라서 한반도가 다시 평화의 사이클로 진입하느냐 긴장과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쪽으로 흘러가느냐 하는 그 기로에 서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과제는 어느 한 정부 임기 중에 처음부터 끝까지 완결하기는 쉽지 않은 장기적인 여정”이라면서 “그런 의미에서 이어달리기와도 비슷해 보인다. 앞의 주자는 끝까지 할 바를 다하고 다음 주자는 이전 정부의 성과를 토대로 더 장기적이고 넒은 시야에서 성과를 더욱 발전시켜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

아울러 “문재인정부는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서 한반도의 정세 안정과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노력하겠다. 우선 종전선언을 통해서 남·북·미 간 실질적인 대화의 문을 열고, 신뢰에 기반해 실질적이고 실용적이면서 지속적인 대화를 추동해나갈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마련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한반도 평화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절대적인 국익이고, 국민의 일상적인 삶과 직결되는 가치이기 때문”이라며 “북측도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우리의 노력에 호응해 나와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