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유인 통한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 공급부문 활성화 정책 필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의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대비 2.1%로 2분기 6.7%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4일(현지시간) 3분기 성장률 잠정치가 2.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 6.7%에서 4.5%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2.2%에도 못 미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사진=연합뉴스


이같은 성장률 하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가 재확산, 소비가 위축된 영향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에 '병목 현상'이 발생한 것도,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연말 쇼핑 시즌이 들어있는 4분기에는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면서, 성장률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광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4분기 미국 경제는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른 가계의 경제활동 재개 확산과 기업의 설비가동률 상승 등으로, 성장률이 재차 높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시각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과거 1970년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가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미국 정부의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합은 '총수요 부양'에 집중된 반면, 노동 수요와 공급 간 미스매치 해소와 공급망 정체에 대한 대응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또 "그 결과 성장은 '과대평가'되고 물가는 '과소평가'됐던 경향이 있는 만큼, 향후 정책 대응은 노동 유인의 제고를 통한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 기업에 대한 투자 유인 강화, 각종 업종에 대한 진입 규제 완화 등, 공급 부문을 활성화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위험요인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김성택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금융시스템 위기를 촉발할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중저 강도의 '금융불안'은 빈번해 질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