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올해 3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남북이산가족 10명 중 8명은 아직까지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9일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국내·외 거주 이산가족찾기 신청자 중 생존자 4만7004명 중 표본으로 선정된 53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밝히면서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전면적 생사 확인’(65.8%)을 가장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정책으로 꼽았다”고 전했다.

조사 결과 이산가족들의 82%는 아직까지 북한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 생사를 확인했다고 답한 응답자(18%) 가운데 50.8%는 민간교류를 주선한 단체나 개인에 의뢰해 북한 가족 생사를 알게 됐다. 당국 차원의 교류 대상자로 참여해 북한가족의 생사 여부를 알게 된 경우는 24.4%에 그쳤다.

하지만 교류 주체별 선호도를 물었을 때 당국 차원의 교류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93.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민간 교류를 희망한다는 응답은 6.3%에 그쳤다.

   
▲ 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둘째날인 25일 오후 북한 금강산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단체상봉에서 북측 박봉렬(85) 할머니가 남측 동생 박춘자(77) 씨와 머리를 맞대고 있다. 2018.8.25/사진=뉴스통신취재단

그 이유는 생사 확인 결과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56.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인과 북한가족 신변 안전이 보장된다(26.1%)는 점, 교류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이 없다(13.0%)는 점도 뒤를 이었다.

반면, 민간 교류를 희망한다고 답한 사람의 39.1%는 ‘당국간 교류 대상자로 지정되는 것이 너무 어렵기 때문’을 이유로 꼽았다. 본인 의지만 있다면 교류를 추진할 수 있다(36.1%)는 점도 민간 차원 교류를 원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였다.

이산가족들은 가장 시급한 정책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생사 확인 및 사망 시 통보제도 추진’(65.8%)을 꼽았다. 다음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29.6%), 남북 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25.8%), 추석 등 특별한 시기에 정기적 고향 방문 추진(18.5%), 화상상봉 활성화(13.7%), 당국 차원의 전화 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12.6%) 등이었다.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류 형태 역시 ‘전면적인 생사 확인’(47.8%)이었다. 고향 방문(18.2%)과 대면상봉(16.5%)이 그 뒤를 이었고, 전화통화(5.0%)나 서신·영상편지 교환(4.4%), 화상상봉(3.5%)이라고 답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이산가족 1세대의 대면 상봉 가능 시점을 약 5년 이내라고 전망했다. 이는 이산가족 1세대의 고령화와 기대수명 등을 고려한 수치로 통일부 당국자는 "사실상 마지막 시점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