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분 퇴비 이용 확대, 농경지 양분 관리, 축분의 에너지화 시급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과거 전통 농업은 가축과 영농의 조화를 통한 생태계의 원활한 자원순환을 기초로 하는, 환경친화적 산업이었다.

그러나 생산성이 낮다는 이유로 현대 농업은 기술개발과 품종 개량, 비료와 농약 등 화약적 투입재 사용, 농후 사료 및 사료첨가제 투입 등으로 자연환경과 멀어져 왔다.

또 전통 농업에서 가축분뇨는 지력 유지와 증진에 유효한 수단이었지만, 수입사료에 의존하는 현재의 집약적 가축사육 체계는 분뇨 순환이용이 어렵다.

따라서 지금의 농축산업은 '고투입-고산출'의 집약적 생산시스템으로 생산성은 높아졌으나, 환경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을 초래하고 있다.

   
▲ 한우/사진=연합뉴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농업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자원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이 시대적 과제라고 지적한다.

특히 경종과 축산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스마트 경축농업'은 농업생태계의 선순환, 지속가능한 발전은 물론, 탄소중립 실천과 건전한 지역생태계 유지 등 농업의 다원적 기능 극대화가 기대된다.

정부와 농업계도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퇴비 및 유기질비료 지원사업,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설치, 액비·퇴비 유통센터 실립, 가축분뇨 전자인계시스템 구축, 토양비료 시비처방서 발급 등 경축순환농업 추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 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기획, 추진 중인 '스마트팜 다부처 혁신기술개발사업'의 연구과제로 '지역 및 국가 단위 경축순환농업' 모델 개발도 추진 중이다.

그럼에도,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 경종농가의 농경지 양분공급원으로서의 축분 퇴비 이용 확대를 위해, 농축산 부산물을 활용한 양분이 우선 공급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고, 토양 유기성 자원의 수급조절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양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김창길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는 제언했다.

김 교수는 또 축분 퇴비화가 어려울 경우, 에너지로 이용해야 한다며, 가축분뇨 에너지사업자이 전력 판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온실가스 배출권 등 일정한 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미래농업은 농축산부산물의 활용과 순환농업의 확립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농축산물 생산이 관건"이라며 "경축순환농업과 스마트농업은 차세대 농업의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