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일본 정부가 1일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공식 추천한 것을 놓고 일본 신문이 사도 광산의 '부의 역사'를 겸허히 마주해야 한다고 정부 측에 주문했다.

2일 아사히신문이 '사도 광산 유적, 겸허히 전하는 조화야말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이런 주장을 내놓았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사히신문은 "어떤 세계유산도 복잡한 역사와 얽혀 있어 평가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다"며 "부의 측면과 관련한 지적을 겸허히 마주해 (유네스코) 가맹 각국과 유산의 가치를 다면적으로 서로 인정하는 조화의 자세를 일본은 명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이 에도 시대 일본 고유의 전통적 수공업을 활용해 금을 생산한 산업유산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 특히 태평양전쟁 기간 조선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이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반대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과의 대화를 서둘러야 한다"며 "세계유산뿐 아니라 징용공(일제 징용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 등 과제가 산적해 있지만, 기시다 후미오 내각과 한국 정부와의 본격 협의는 정체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한 2015년 조선인 징용 현장인 군함도)가 포함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약속을 일본 정부는 제대로 이행해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아사히는 "(당시) 일본 정부는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환경에서 일한 한반도 출신자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 희생자를 기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했다"면서 이와 관련해 작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의 조치가 불충분했다며 '강한 유감'의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사실을 언급했다.

한편, 고가 고 마이니치신문 전문편집위원은 이날 사도 광산 관련 기명 칼럼에서 1988년에 발간된 '니가타현사·통사편8·근대3'에 "쇼와 14년(1939년)에 시작된 노무 동원 계획은 명칭에선 '모집', '알선', '징용'으로 바뀌었지만,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했다는 사실에선 같다"라는 내용이 나온다고 전했다.

사도 광산 소재지인 니가타현이 자체 발간한 역사책에 조선인 강제 연행을 인정하는 기술이 있는 셈이다.

고가 편집위원은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편찬한 것이라고 해도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생각하고 싶은 일본 정부로서는 불편한 공적 역사책이 있는 것은 틀림없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