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곳 중 6곳 수시채용, 채용계획 인원 10명 중 3명은 경력직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올해 상반기에도 대기업 채용시장이 어두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의 절반(50.0%)은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중 신규채용 계획 미수립 기업은 42.1%, 신규채용이 아예 없는 기업은 7.9%였다.

   
▲ /사진=전경련 제공

전경련은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신규채용이 없는 기업 비중이 전년 동기(2021년 63.6%)보다는 줄었지만, 지난해 취업시장이 워낙 좋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기저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확산 이전 수준(2020년 41.3%)으로 돌아가지 못해 여전히 일자리 시장이 어려운 상황임을 방증한다”고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은 50.0%로, 이 중 채용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기업은 54.3%고,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41.4%, 줄이겠다는 기업은 4.3%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 속에서도 고용여력이 있는 일부 기업들은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해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가 어려움(19.2%),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음(17.3%), △ 회사상황이 어려움(13.5%), △고용경직성으로 인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인 인력 구조조정이 어려움(13.5%), △내부 인력 수요 없음(11.5%), △하반기 공채만 진행(3.9%), △기업규제3법, 노조법, 중대재해법 등 과도한 규제입법으로 인한 경영 어려움(1.9%) 순으로 조사됐다.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회사가 속한 업종 경기가 좋거나 좋아질 전망(44.8%),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4.1%), △미래의 인재 확보 차원(20.8%), △퇴사로 인한 인력 수요 발생(10.3%) 순으로 꼽았다.

올해 상반기 대졸 채용시장에서 기업들이 이공계열 전공자들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 10명 중 6명(61.0%)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인문계열(36.7%), △의약, 예체능 등 기타 전공계열(2.3%)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중 수시채용을 적극 도입할 예정이다. 기업 10곳 중 6곳 이상(62.1%)은 신규채용에서 수시채용을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이 중 수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15.0%,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47.1%였다. 한편, 공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37.9%에 불과했다.

   
▲ /사진=전경련 제공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발빠른 대응을 위해 기업들은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 채용을 활발히 할 전망이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인원 10명 중 3명(29.7%)을 경력직으로 뽑을 것이라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보면, △10% 미만(26.4%), △40% 이상 50% 미만(20.0%), △20% 이상 30% 미만(17.2%) 순이었으며, ‘50% 이상’을 뽑겠다는 기업은 15.7%에 달했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노동, 산업 분야 등 기업규제 완화(43.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18.6%), △신산업 성장 동력 분야 기업 지원(17.9%), △4차 산업혁명 분야 직업훈련 지원 확대(9.3%), △정규직․유노조 등에 편중된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5.0%), △진로지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등 미스매치 해소(4.3%)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오미크론 대유행, 금리인상,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고용시장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차기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기업규제 완화, 인센티브 확대 등 고용여력을 제고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