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2~3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 높아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며 연내 공격적인 추가 인상을 예고하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시계도 빨라질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거세진 물가 상방 압력에 대한 대응이 불가피한 데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한은이 연내 2~3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관측과 함께 새 정부가 출범하는 5월 이후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 사진=한국은행 제공.

18일 한은 및 금융권에 따르면 미 연준의 이번 금리 인상은 시장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평가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전날 주재한 상황점검 회의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아 국제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향후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움직임 등이 국내 금융시장과 성장·물가 등 실물경제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0.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FOMC 위원 다수가 올해 말 적정 기준금리를 1.75~2.00로 제시하면서 이번 인상을 포함해 연내 7차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 따라서 한은이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으면 두 나라 사이 기준금리는 역전된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나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의 우려가 높아진다. 여기다 최근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한은의 추가 인상 속도 역시 빨라질 전망이다. 한은은 지속적으로 시장에 금리 인상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올해 2~3차례 기준금리 인상신호를 보내왔다. 

한은이 지난달 24일 개최한 '2022년 제4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 따르면 이주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 금통위원은 "높아진 기대인플레이션 수준과 높은 유동성 증가세 지속 등은 현재 통화정책 기조가 여전히 상당히 완화적임을 시사한다"며 "지금과 같은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적절한 시기에 적정한 속도로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후 더 큰 폭의 조정이 불가피하게 돼 이 경우 경기와 금융시장에 보다 큰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며 "향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의 동향, 국내 경기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적정 시점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은 "1월과 비교하면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커졌으나, 작년 이후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물가의 상방리스크는 더 증가했다"며 "가계부채 증가세가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상회하는 등 금융불균형은 여전히 주의를 요하는 수준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축소해가는 방향으로 금리를 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시장에선 금리 인상 시점은 4월 금통위는 건너뛰고 새 정부가 출범한 이후 열리는 5월 금통위가 될 것으로 관측한다. 이주열 총재의 후임 인선이 정권교체기와 맞물린 데다 인선과정 마저 불협화음을 내면서 다음 달 일정기간 총재 공석 상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