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버스 충전소 모델 정립 및 국산화율 제고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국산화 기술개발은 대부분 완료됐지만, 국산 부품에 대한 트랙레코드 부족, 신뢰성 부족 등으로 실제 상용화되는 비율은 낮은 가운데, 정부가 수소충전소 실증사업에 돌입한다.

   
▲ 현대차 수소전기버스 ‘일렉시티 FCEV’가 오스트리아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투입돼 주행중이다./사진=현대차 제공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4일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창원시와 버스연계형 가포수소충전소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준공식은 2020년부터 총 사업비 194억 원을 들여 추진한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의 결과물로써, 한국자동차연구원, 창원산업진흥원, 한국천연가스수소충전협회, 경남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하여 추진해 왔다.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은 수소버스 충전소 표준 모델을 확립하고 충전소 설비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사업이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노선에서 운행되는 수소버스 충전 실증을 통해 수소버스용 충전소 표준 모델 확립하고, 버스 노선과 연계한 운영계획을 수립해 수소버스의 충전패턴(1회 충전량, 1일 충전횟수, 1일 충전량 등)을 분석한다.

또한 충전설비 고장 시 저압 충전 실증도 함께 추진해 버스 수소충전소의 안정적 운영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충전소 설비의 국산화 비율을 80% 이상이 되도록 구축함으로써 국산 부품에 대한 작동 특성, 성능분석, 내구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고, 국산, 외산 압축기를 각각 적용한 충전기 2기를 운영하면서 성능을 비교 모니터링해 향후 수소충전소 국산화율을 제고시킨다는 복안이다.

산업부는 “가포수소충전소는 실제 버스노선과 연계해 수소버스 운영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이렇게 축적된 경험은 타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돼 수소버스 운영 및 충전소 구축 모델 정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양병내 수소경제정책관은 “창원시는 130개가 넘는 수소 부품기업들과 수소생산기지, 액화수소플랜트 및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사업 등 수소경제 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제고와 함께, 청정수소 기반 충전소, 수소-전기 융복합 충전소 등 신사업 모델 발굴을 지원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기존 주유소·액화석유가스(LPG)충전소를 활용해 태양광·연료전지 발전, 수소차·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