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신임 총재는 21일 “성장과 물가 간 상충관계가 통화정책 운용을 더욱 제약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가며 정책을 운용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 이창용 한국은행 신임 총재./사진=한국은행 제공.


이 총재는 이날 취임사를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한층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회복세가 기존 전망보다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단기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미 연준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중국의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통화정책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보다 긴 안목에서 보면 지금 한국경제는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며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세계화의 후퇴 흐름이 코로나 이후 뉴노멀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신기술 확보 경쟁, 지정학적 경제 블록화 등으로 국가간 갈등이 심화되고, 이 과정에서 정치·경제·안보 등 여러 이슈가 서로 연계되면서 국제정세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 분명해 보인다”며 “뉴노멀 전환 과정의 도전을 이겨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지, 아니면 고령화와 생산성 저하 추세가 이어지면서 장기 저성장 국면으로 빠져들게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에 놓여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이런 갈림길에서 우리 경제가 올바른 선택하기 위해 이제는 경제정책의 프레임을 과감히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와 같이 정부가 산업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 한다고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며 “이제는 민간 주도로 보다 창의적으로 질적인 성장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구조개혁 과정에서 반드시 나타날 소득 불균형과 양극화 심화 문제에도 주목해야 한다”며 “디지털 기술발전에 따른 지식 집약 산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소득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나친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우리의 성장잠재력을 훼손시킬 것이기에 이에 대한 해결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